국제 국제일반

일본 中企도 '키코 피해' 속출

일본 중소기업들이 환헤지옵션상품의 일종인 일본판 ‘키코(KIKO)’ 상품을 대거 구입했다가 엔고 지속으로 도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14일 마이니치 신문은 일본 신용조사회사인 데이코쿠(帝國)데이터뱅크의 자료를 인용, 엔고로 도산한 전체 기업 중 외환파생상품 손실로 도산한 기업이 3분의 1을 넘는다고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해 엔고로 인한 도산 건수(35건)중 13건(37.1%)이 외환파생상품 구입으로 인한 도산이었고 올해도 38건중 14건(36.8%)이나 됐다. 일본의 외환파생상품은 계약 시점보다 엔화가 상승하면(엔화가치 하락) 이익을 보지만 엔화가 떨어지면 거액의 손실을 보게 되는 구조로 설계됐다. 통화 옵션을 걸어둔 환헤지 파생금융상품이라는 점에서 2008~2009년 중소기업의 줄도산 사태를 초래했던 한국의 ‘키코’와 비슷한 상품이었던 것이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엔화가 80엔대를 오르내리는 엔고 현상이 정착되면서 일본 중소기업의 도산이 잇따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달 수천만엔을 내라는 요구를 견디다 못해 중소기업이 은행에 중도 해약을 요구하면 연간 이익의 10배를 넘는 위약금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사태가 악화되자 일본 금융청은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금융청은 전국 은행에 외환파생상품의 판매 건수와 금액, 구매자 중 중소기업 비율 등을 보고하라고 지시했으며 은행이 상품에 대한 위험 가능성을 충분히 고지하지 않았을 경우 은행측에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