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장출혈성 대장균 O-26환자 첫발생

심하면 목숨까지 앗아가는 O-157균과 유사한 장출혈성 대장균인 O-26균에 감염된 환자가 올 처음으로 발생, 보건당국이 긴장하고 있다.9일 국립보건원에 따르면 설사와 혈변ㆍ복통 등의 증상으로 지난 4월 중순 녹십자의료재단에 입원했던 김모(62ㆍ경기 이천시)씨의 가검물을 채취해 정밀 검사한 결과, O- 26균이 검출됐다. 이에 따라 보건당국은 감염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즉각 역학조사에 나섰다. 김씨는 입원치료를 받다 상태가 호전돼 퇴원했으나 췌장염이 재발해 다시 입원했다. 국내에서 O-26 환자가 발생한 것은 지난 99년 출혈성 대장균이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된 후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다. 법정 전염병으로 지정되기 전에는 87년 한양대병원에 입원해 있던 어린이 환자가 O-26균에 감염된 사실이 밝혀진 적이 있으며 97년 미국산 쇠고기에서 균이 검출돼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격리치료가 필요한 법정 1군 전염병인 O-26균은 98, 99년 잇따라 국내에서도 발병해 충격을 주었던 O-157균과 같은 장출혈성 대장균에 속한다. 감염경로와 증상ㆍ예방방법은 O-157균과 비슷하다. O-157균은 82년 미국에서 처음 발견된 대표적인 병원성 대장균으로 장출혈 설사ㆍ복통 등 식중독 증상을 일으킨다. 소의 분변에 오염된 고기나 식수ㆍ야채 등을 덜 익혀 먹었을 때 감염되는데 항생제 치료가 불가능하고 심할 경우 사망할 수도 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