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금융트렌드] 체크카드 인기 "신용카드 못잖네"

소득공제율, 신용카드 보다 높고<br>캐시백 할인 등 부가 혜택도 늘어


연말연시가 다가오면서 체크카드가 다시 한번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올해부터 연말정산 소득공제 때 신용카드에 비해 공제율이 높아진 데다 각 카드사들마다 신용카드 못지않은 부가혜택을 갖춘 체크카드를 잇따라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더 강력해진 캐시백 할인=최근 체크카드는 현금으로 캐시백해 주거나 포인트를 쌓아주는 상품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하나SK카드가 올해 출시한 '매일더블캐시백 체크카드'는 2만원 사용시마다 200원(1% 상당)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다. 자동차 · 가전제품 구입,치과·웨딩·장례 서비스 등 일시 사용금액이 높은 5대 업종에 대해 이용액의 최고 1.5%를 현금으로 돌려준다. 신한카드의 '신한 HI-POINT 체크카드'는 전월 이용 실적에 따라 최대 0.5%까지 포인트가 적립된다. 백화점 등 특별 적립처에서는 최대 3%까지 포인트를 쌓을 수 있다. 현대카드의 'C Discount 카드'도 지정된 가맹점에서 캐시백 서비스를 제공한다. GS칼텍스 주유소는 리터 당 40원,스타벅스 이용금액의 5%, CGV 예매시 1,500원을 돌려준다. 롯데카드는 주로 롯데 계열사로 구성된 '롯데 멤버스' 제휴사에서 이용할 경우 기본 적립 포인트를 2배 더 쌓아주는 '롯데 포인트 플러스 체크카드'를 내놨다. 기업은행이 출시한 스타일 체크카드는 국내 37개 제휴사의 멤버십 카드를 한 장으로 통합해 쓸 수 있다. 이용 금액의 0.2%를 캐시백해 주며 대중교통 이용금액 할인,휴대폰 이용 요금 할인 등 서비스도 제공한다. 삼성카드의 '캐시백 체크카드' 역시 쇼핑·외식·주유업종 중 하나를 택해 사용금액의 최대 8%까지 현금으로 되돌려 받을 수 있다. 스타벅스,커피빈 1만원 이용당 1,000원의 캐시백 서비스를 제공하고 항공권도 최대 7% 할인된다. 한국씨티은행은 직장인과 주부를 대상으로 점심값 등을 할인해주는 'A+ 체크카드'를 판매하고 있다. 이 상품은 점심값, 주유, 학원, 병원, 마트 등에서 할인혜택을 제공한다. 'A+ 체크카드'는 오전11시부터 오후2시까지 BC카드 가맹점인 전국 모든 식당에서 5,000원 이상 결제 시 전월 실적에 따라 5% 또는 10%를 할인해준다. ◇소득공제 혜택, 신용카드보다 많아=올해부터 신용카드는 급여의 25%를 넘는 사용액의 20%만큼을 소득공제받을 수 있다. 한도도 연 500만원에서 300만원으로 줄었다. 반면 체크·직불카드는 급여의 25%를 넘는 사용액의 25%를 공제해 준다. 신용카드보다 공제율이 높아진 것이다. 예를 들어 연봉 3,000만원의 직장인이 1,000만원을 신용카드로 썼다면 급여의 25%(750만원)를 넘는 250만원에 대해 20%인 50만원을 소득금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 반면 똑같은 액을 체크카드로 쓴다면 250만원의 25%인 62만5,000원을 공제받을 수 있다. 체크카드는 통장에 들어있는 금액 한도에서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과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편리하다. 신용카드를 발급받으려면 20세 이상으로 소득을 증빙할 수 있어야 하지만 체크카드는 만 14세 이상으로 출금 통장에 일정 이상 금액만 있으면 된다. 신용카드와는 달리 대부분의 체크카드에는 연회비도 없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