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中, 日제품 불매운동 '요원의 불길'

日 교과서 왜곡 파장<BR>中 체인점협회·네티즌등 선언 잇따라…"일본車 부수자"등 극단적 분노표출도<BR>日정부, 자국 상점·기업들 보호 요청…양국간 경제교류 벼랑끝 위기 치달아

中, 日제품 불매운동 '요원의 불길' 日 교과서 왜곡 파장中 체인점협회·네티즌등 선언 잇따라…"일본車 부수자"등 극단적 분노표출도日정부, 자국 상점·기업들 보호 요청…양국간 경제교류 벼랑끝 위기 치달아 중국에서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운동이 ‘들불’처럼 번지면서 중ㆍ일 양국간 경제교류가 위기국면으로 돌입하고 있다. 6일 파이낸셜타임스(FT)과 AP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중국의 소매체인 및 프랜차이즈연합회는 역사 왜곡에 힘을 보탠 기업이 만든 상품의 불매운동을 선언했다. 주요 대상은 일본 후소샤(扶桑社)판 역사교과서 편찬에 협력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는 아사히맥주, 이스즈모터스, 미쓰비시중공업, 히노모터스, 스미토모생명보험, 아지노모토, 도쿄미쓰비시은행, 시미츠, 추가이제약, 그리고 타이세이 등 10개 기업이다. 일본 정부가 중국에서 자국기업을 보호해 줄 것을 요구하고 기업들도 서둘러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불매운동은 더욱 번지고 있다.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열도에 대한 영토분쟁으로 반일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왜곡된 역사교과서가 검정을 통과하자 일본 상품의 불매운동이 전국화ㆍ조직화되고 있다. AFP통신은 이번 중국의 일본제품 불매운동과 관련, “중ㆍ일 감정대립이 경제영역으로까지 넘어섰다”며 “이로 인해 양국간 무역이 크게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프랜차이즈연합회는 지난 5일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성명을 발표하고 통해 “중국 침략이 범죄행위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거만한 일본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에 대해 확고한 불매운동을 벌일 것”이라며 “중국인이 운영하는 모든 상가의 진열대에서 일본 제품을 완전히 철수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지난 1일과 3일에는 청두에서 반일 시위대가 일본인 소유의 슈퍼마켓 이토-요카도와 에이온 상점을 공격, 유리창을 깨면서 분노를 표시했고 남부의 센첸시 내 세이부 백화점 앞에서는 시위대가 중국국기인 오성기를 흔들며 일본 상품 불매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또 일부 네티즌들은 불매운동을 더욱 확산시켜 더 이상 일본이 중국에 발을 붙일 수 없도록 만들자는 주장을 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양식있는 중국인들은 모두 하나로 통일해 일본상품을 사지 말자”며 일본차를 모두 부수자라는 극단적인 감정표출을 하고 있다. 중국에서의 반일 감정이 고조되자 일본정부는 중국정부에 자국기업 보호를 요청하는 등 긴장하는 모습이다. 호소다 히로유키 일본 관방장관은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주일 중국대사를 찾아가 중국내 일본 기업의 활동을 보장해 줄 것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아나미 고레시지 주중 일본대사도 중국정부에 반일 움직임에 대한 우려를 전달하고 “자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일본 기업과 일본인의 안전을 보호할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간 기업들도 자신들은 교과서 문제와 연관이 없다는 점을 강조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골몰하고 있다. 실제로 불매대상이 된 이스즈모터스와 히노모터스는 “교과서 개정을 지지한 바 없다”며 서둘러 진화에 나섰고 타이세이사 역시 “자사고문 2명이 ‘새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에 참여한 적은 있지만 2002년 탈퇴했다”며 무관성을 호소했다. 송영규 기자 skong@sed.co.kr 입력시간 : 2005-04-06 18:35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