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동해 수온 年0.06도 상승

해양연구원 발표…지구전체 해양보다 1.5배가량 빨라

동해의 수온이 연평균 0.06도씩 오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구 전체 해양 수온이 연평균 0.04도씩 오르는 것과 비교할 때 1.5배가량 빠른 것이다. 한국해양연구원은 28일 이 같은 내용의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해수순환과 중장기 변동 반응 및 예측연구’의 중간 결과를 발표했다. 이재학 책임연구원은 “동해 해수면의 평균 수온은 지난 85년 이후 연평균 0.06도의 상승률을 보였고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은 93년 이후 연평균 6.4㎜ 올랐다”면서 “이는 최근 20년 간 전지구 해양의 연평균 수온 상승률 0.04도와 연평균 해수면 상승률 3.1㎜보다 1.5∼2배나 빠른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 같은 결과는 일본기상청의 1891∼2005년 해수면 온도자료, 1920년부터 현재까지 세계 해양 데이터베이스, 92년 이후 인공위성 고도계자료 등을 분석해 얻었다고 연구원은 밝혔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0년 동안 동해 해수면의 수온은 약 2도 상승했는데 40년대와 80년대 이후 단기간에 급격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해 중에서도 북한 연안인 북서해역의 수온 상승률이 가장 컸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동해연안 해수면은 최근 30년 간에는 연평균 3.2㎜, 최근 14년 간에는 연평균 6.4㎜, 최근 9년 간에는 연평균 6.5㎜가 상승했는데 90년대 들어 급격히 높아진 상승률이 최근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 연구원은 “현재 기상청에서 앞으로 기후변화를 예측해 대응책을 담을 국가 표준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만들고 있는데 해양변화 부문의 경우 현재 진단과 향후 예측 등이 모두 미흡하다”며 “정부와 정치권이 본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