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韓 내년 국가채무 비율 30%… 위기 이전 수준으로 내려갈 것"

IMF "재정여건 상대적 양호"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내년께 위기 이전 수준으로 내려갈 것으로 전망했다. 또 유로 지역에서 위기 해결 체제 마련이 지연되고 있어 재정위기가 확산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IMF는 최근 재정점검 보고서(Fiscal Monitor)에서 한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오는 2012년 30.0%를 기록하고 2014년 26.0%, 2016년 22.2%로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 2007년 한국의 국가채무 비율이 30.7%인 점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에 국가채무가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재정부가 2011∼2015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국가채무 비율을 2012년 32.8%, 2014년 29.6%로 추정한 것과 비교하면 IMF가 우리나라의 재정 여건을 상대적으로 낙관적으로 봤다. 반면 선진국의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2007년 73.4%에서 2012년 102.9%, 2014년 108.7%, 2016년 109.4%로 위기 이후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IMF는 예상했다. 신흥국의 경우에는 국가채무 비율이 2012년 36.0%로 위기 이전인 2007년의 35.9%에 다다르고 이후 2014년 33.0%, 2016년 30.9% 등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IMF는 국가채무를 경제위기 이전 수준으로 줄이려면 선진국은 2020년까지 경기변동에 따른 수입ㆍ지출 변동분과 순이자지출을 제외한 경기조정 기초재정적자를 7.8%포인트, 신흥국은 2.8%포인트 감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IMF는 글로벌 재정위기가 확산되지 않도록 선진국의 경제성장 정체 가능성, 재정위기의 금융위기로의 파급 등에 대비할 것을 충고했다. 또 유로지역에서 종합적인 위기해결 체제 구축이 늦춰지는 만큼 재정위기가 소규모 경제에서 대규모 경제로 확산될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IMF는 유로지역이나 미국ㆍ일본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가 중기 재정계획강화, 재정에 대한 대내외 신뢰 확립 등을 통해 재정 위험의 현실화를 방지할 것을 제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