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정된 과학벨트… 장외 격돌

여 "최선 다해 뒷받침" 야 "원안 사수 총력"<br>지도부 나란히 대전 방문… 충청 민심 잡기

여야가 4일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을 놓고 장외 격돌을 벌였다. 정부와 대전시가 전날 맺은 과학벨트 수정안 양해각서(MOU) 에 대해 여야 지도부가 각각 대전을 찾아 "집권 여당으로서 최선을 다해 뒷받침하겠다" "원안 사수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엇갈린 행보로 충청 민심 잡기에 나섰다.

황우여 대표 등 새누리당 지도부는 이날 오전 대전 유성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과학벨트 핵심 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IBS)의 건립지를 당초 원안인 대전 둔곡지구 대신 대전 엑스포과학공원으로 변경하는 정부ㆍ대전시 간 협약을 지원 사격하기 위한 조치다.


황 대표는 "정부의 여러 현안 중 가장 중요한 과학벨트 조성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모여 문제를 해결했다는 데 기쁨을 표한다"며 "MOU 이후 현안을 당이 직접 챙기면서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김한길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는 한 시간가량 앞서 대전시당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었다.


김 대표는 "과학벨트라는 대형 국책사업이 갑자기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며 "(정부ㆍ대전시의 MOU는) 제2의 세종시 수정안 사태로 원안 사수를 위해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이명박 정부 시절 세종시 수정안 추진 논란과 이번 사안을 연계한 것이다.

관련기사



과학벨트 사업과 관련, 정부는 대전시에 3,500억원 상당의 IBS 부지 매입비 부담을 요구했고 이에 난색을 표하던 대전시는 엑스포과학공원 부지를 20년간 무상 임대해주는 정부 제안을 수용했다.

이에 대해 야당 측은 IBS를 당초 원안인 둔곡지구 대신 대전의 도심인 엑스포공원으로 옮기면 신동ㆍ둔곡 등 거점지구는 물론 세종ㆍ천안ㆍ청원 등의 기능지구가 무용지물이 된다고 반발하고 있다. 천안이 지역구인 양승조 민주당 최고위원은 "새누리당 정권이 대를 이어 충청인을 우롱ㆍ기만하고 자존심을 짓밟고 있다"며 "(어제의 MOU는) 과학벨트 거점지구ㆍ기능지구를 빈 껍데기로 전락시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황우여 대표는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수정안은 대전엑스포 후 대전시가 겪은 많은 어려움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이라며 "야당이 더 좋은 안을 가져오면 검토하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정치권으로서는 지자체ㆍ정부 간 합의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민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