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李대통령 "검찰, 국민 입장서 생각하라"

수뇌부 사퇴 움직임에 경고

30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COEX에서 열린 제4회 세계검찰총장총회 개회식에 참석한 이명박 대통령이 물을 마시며 김준규(오른쪽) 검찰총장의 이야기를 듣고 있다. 왕태석기자

이명박 대통령은 30일 검경 수사권 조정안에 반발해 검찰 수뇌부가 보인 집단 사퇴 움직임에 대해 "국민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삼성동 COEX에서 개막한 유엔 세계검찰총장회의에 참석해 김준규 검찰총장을 비롯한 검찰 관계자들에게 이같이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총장은 "네…"라고 짧게 답하며 고개를 끄덕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총장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지난 28일 검찰과 경찰이 합의한 수사권 조정안을 일방적으로 수정하자 세계검찰총장회의가 끝나는 오는 7월4일 자신의 거취에 대한 입장을 표명하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앞서 열린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도 검경 갈등을 겨냥한 듯 "우리 사회에 여러 갈등이 국민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며 "힘을 가진 사람들이 싸운다고 볼 수도 있는 만큼 서로 이해하고 협력하고 지혜를 나누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민정수석실을 중심으로 국회 본회의 이전 검경 수사권 조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듣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검찰이 최고 엘리트조직인 만큼 성숙하게 변화에 맞춰주기를 바란다"며 "긍정적으로 잘 받아들여 대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청와대 일각에서는 임기가 한 달 보름 정도 남은 검찰총장의 사의 표명이 '항명'이 아니냐는 불쾌감이 감지되고 있다. 이 대통령도 검찰 수뇌부의 집단 사의를 보고받고 "검찰이 집단행동을 하는 것처럼 비쳐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항명은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법무부령이 대통령령으로 바뀌었다고 해서 당초 조정안의 본질이 바뀐 것은 아니다"라며 "국회의 수정은 합의 무시가 아닌 고유권한"이라고 말했다. 국회는 이날 본회의를 열어 검찰과 경찰의 수사권 조정을 담은 형사소송법 개정안을 재석 200표 가운데 찬성 175표, 반대 10표, 기권 15표로 의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