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김정회 교수, '자일리톨 생산' 미생물 균주 개발

KAIST 생명과학과 김교수팀 개발


김정회(55) KAIST 생명과학과 교수가 첨단 바이오 기술을 이용해 자일리톨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인 캔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lis)를 개발했다고 28일 발표했다. 김 교수팀은 미생물 균주를 이용해 충치예방효과가 있는 자일리톨의 생산수율을 98%까지 끌어올림에 따라 기존 화학적추출법과 비교해 20% 이상의 원가절감을 달성했다. 김 교수는 “화학적 자일리톨 생산방법을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균주들이 개발됐으나 대량생산에 적용이 가능한 고수율 자일리톨 생산 균주의 개발은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 자작나무에서 추출되는 천연감미료인 자일리톨은 그동안 자작나무와 옥수수 속대 등을 가수분해해 자일로스를 추출한 뒤 이를 화학적으로 정제해 자일리톨을 생산함에 따라 생산 수율이 50~60%대에 머물렀다. 자일리톨은 충치 억제 효과로 인해 국내 제과업체들이 껌과 캔디 등의 제품에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만 억제 차원에서 설탕 대체물로의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세계 자일리톨 시장은 최근 2~3년간 연평균 35% 이상의 시장성장률을 기록하며 6,000억원 이상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