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영업활동 위축 우려 기업명단 공개 안해"

[3차 기업 구조조정] "상장업체는 공시할것"… 이종휘 우리은행장 일문일답

이종휘 우리은행장은 25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기업상시위험평가 결과’ 브리핑에서 “원활한 기업 구조조정과 해당 기업의 영업활동 위축 등을 고려해 구조조정 대상 업체명을 발표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채권은행 간 협의가 있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행장은 “그동안 구조조정을 많이 해 대상 업체 수가 줄어들었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상장업체는 공시를 통해 구조조정 대상이 밝혀질 텐데 공개를 안하는 이유는. ▦상장업체에 대해서는 투자자 보호 차원에서 공시규정에 따라 공시할 계획이다. -상장업체는 몇 개인가. ▦대상 업체 중 상장업체가 몇 개인지, 비상장업체가 몇 개인지조차 알지 못한다. 죄송하다. -지난해에는 명단이 발표됐는데, (올해는) 시장에 혼란을 주는 것 아닌가. ▦지난해 초 상시평가 결과는 시장에 이미 확산된 불안요인을 해소하는 차원에서 발표했다. 그 이후 상시평가 결과 업체명을 발표한 바가 없고 이번에도 발표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채권은행 간 협의가 있었다. -이미 시장에서는 루머가 돌고 있어 특정 기업의 주가가 빠지고 있는 상황이다. ▦명단 발표에 대해 여러 의견이 있는데 채권은행 간에도 많은 고민을 했다는 말씀을 드린다. -지금 주택 미분양 상황을 볼 때 건설사 대상 업체가 16개인 것은 너무 적지 않나. ▦지난해와 비교하면 건설사는 13개 줄었고 조선사는 4개, 해운사는 9개가 감소했다. 중소 조선업체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에 총 24개가 있는데 이미 20개 기업이 구조조정 중이라 지난해보다 숫자 면에서 적은 것이다. -신용위험평가의 신뢰도를 어느 정도로 보나. ▦기업신용위험평가가 지난해 이후로 더 강도 높게 진행됐다. 평가기준도 세밀하고 다각도로 실시됐다. 업종별 특성에 따라 기준을 만들었기 때문에 지난해보다 더 시장 신뢰도가 높지 않을까 확신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