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는 지금 ‘혁신’싸고 內訌

우리당, 새판짜기 난상토론… 내분 재연조짐<BR>한나라, ‘당 혁신안’ 확정놓고 욕설사태까지


여야가 공히 당의 ‘혁신’을 놓고 내부 진통을 겪고 있다. 17대 국회의 전환 점을 앞두고 전열을 재정비, 내년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을 대비해야 한다는 판단이지만, 혁신 과정서 당내 계파간 이해관계의 충돌로 당파 싸움 양상마저 보이고 있다. 열린우리당은 10ㆍ26 재선거 패배 후 비상집행위원회를 중심으로 당의 진로를 다시 짜고 있지만 임시 지도부의 권한 문제를 놓고 마찰음을 내고 있다. 한나라당도 이해당사자간의 파워 게임 때문에 당 혁신안의 최종 합의가 미뤄지고 있다. 열린우리당이 ‘환골탈태(換骨奪胎)’를 위한 몸부림을 치고 있다. 10ㆍ26 재선거의 완패로 지지율 하락의 ‘정점’을 확인한 우리당은 우선 민심 이반의 주요 원인이 정체성 상실이라고 보고, ‘정체성 확립’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키로 했다. 정세균 의장 겸 원내대표는 4일 “비상집행위는 열린우리당과 참여정부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자고 확고한 결심을 했다”며 “그 출발은 당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에 맞게 실천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정 의장은 이날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열린우리당의 비전’을 주제로 당 싱크탱크인 열린정책연구원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 참석, “당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우리가 무슨 일을 해야 신임을 받고 국민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지 깊은 성찰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또 제2의 창당을 기치로 내건 당 비상집행위원회는 연일 이어지는 밤샘 토론을 통해 새판짜기에 여념이 없다. 비상대책위는 내년 전당대회까지의 과도기 체제를 위한 의견 수렴 차원이라지만 논의의 내용을 보면 창당 준비와 흡사하다는 게 주변의 평가다. 우선 논의 테이블에 오른 의제가 전당대회 성격규정과 일정, 중앙위원 및 대의원 재선출에서 당헌ㆍ당규 개정과 기간당원제 개선을 거쳐 입각 대선주자의 복귀와 당ㆍ청관계 재정립으로 논의 대상을 넓혀가고 있는 것이 이런 분위기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비상대책위의 이 같은 새판짜기 추진을 놓고 재야 및 개혁추진세력이 반발하는 등 당내 계파간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 추후 논의 과정에서 당내 갈등이 재연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한나라당이 '당 혁신안' 확정을 놓고 '욕설 사태'까지 빚는 등 진통을 겪고 있다. 지난 3일 박근혜 대표 주재로 열린 상임운영위회의에서 집단지도체제 도입에 따른 당내 의결 구조에 논의했다. 하지만 이 자리에서 혁신안을 제시, 심의를 받으려던 김무성 사무총장과 일부 최고위원들 사이에 이견이 생겨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참석자들에 따르면 특히 이 자리에서 김 총장은 욕설을 퍼부으며 혁신안이 적힌 서류를 던진 뒤 책상을 발로 차고 회의장을 떠나 버리는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총장은 직후 박 대표에게 사의를 표했으나 지도부는 만류하고 있는 상태다. 김 총장과 일부 최고위원들 사이에 설전이 벌어졌던 이유는 혁신안 가운데 대표 및 최고위원 견제 기구인 상임전국위원회 구성 방식에 대한 이견 탓이었다. 김 총장이 제시한 혁신안은 3선 이상 중진의원과 호남ㆍ충청 등 취약지 원외위원장 20명을 전국위원 66명에 당연직으로 포함시키는 내용. 최고위원들은 "이들의 숫자가 너무 많고 대표성이 떨어진다"며 반대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당내 이견은 있을 수 있지만, 책임 있는 당직자가 공식 심의를 하는 회의 도중 욕설을 하며 뛰쳐나간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불쾌하다는 반응을 보이며 "이는 최근 당내 언로가 막히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좌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