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7월 10일] 휘청대는 G8

지난 8일(현지시간)부터 이탈리아 라퀼라에서 열린 주요8개국(G8) 회담에 대한 관심이 예전 같지 않다. G8 정상들의 발언 하나하나를 주목하던 이전 기사들보다 살짝 김빠진 감이 있다. 아무래도 경기침체가 조만간 끝날 거란 예상 때문에 ‘비상등’이 흐려지면서 관심이 줄어든 탓도 있겠지만 이 뿐만은 아니다. 보다 근본적으로 G8의 위상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일부 G8 참가자들조차 “G8은 경기침체를 겪으면서 세계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다”고 토로할 정도다. 이 때문인지 G8이 회담과 관련해 발표한 내용을 봐도 맨송맨송하기 짝이 없다. 딱히 메인 이슈랄 것도 없고 논의 내용들도 하나마나 한 듯싶다. 일례로 G8은 8일, 오는 2050년까지 선진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대 대비 80% 줄이기로 합의했다. 또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50% 감축하기로 했다. 하지만 당장 G8 국가 중 하나인 러시아가 마뜩하지 않은 표정을 짓고 있으며 참관국인 인도와 중국ㆍ멕시코 등도 반발하고 있다. G8의 합의안에는 별다른 구속력도 없어 ‘그들만의 말잔치’로 끝날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제는 G8의 확대 버전인 주요20개국(G20) 회담에 기대를 걸어야 할까. 우리나라를 포함해 국제사회에서 점점 목소리를 높여가고 있는 개도국들이 여럿 포함돼 있는 만큼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중요한 건 G20이 G8보다 더 활성화되거나 주목을 받는다고 해서 ‘국제사회의 협력과 공조’가 부록으로 딸려오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중국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해 온 국제통화기금(IMF)에서의 발언권 문제를 포함해 국제사회가 개도국들의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지 못한다면 G20조차 일회성 행사로 끝날 공산이 크다. 선진국들이 국제무대에서 중요한 사항들을 결정하고 개도국들은 군말 없이 따르던 시대는 지났다. 경기침체를 넘어서고 안정적이고도 지속 가능한 성장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플레이어들의 참여를 얼마나 보장해주느냐가 중요하다. 이번 G8에서 주제로 삼았어야 할 화두는 차라리 이것이어야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