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덕단지내 벤처부지확보 논란

대덕단지내 벤처부지확보 논란관리본부·과기부, 미활용토지 이용 추진 대덕밸리 벤처기업들이 급증하면서 대덕연구단지내 벤처기업 부지 확보방안이 뜨거운 감자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이와관련, 대덕연구단지의 친환경적 개발을 주장하는 입장과 더이상의 환경파괴를 억제해야 한다는 보존논리가 뜨겁게 맞서고 있다. 대덕연구단지 관리본부는 연초 대덕밸리 벤처기업의 입주지원을 위해 현행 미활용부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 토지이용계획 변경을 통해 벤처기업들이 추가로 입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단지관리본부측은 업계로부터 필요한 생산공간규모를 파악한데 이어 입주지정이후 개발을 미루고 있는 연구소에 대한 개발여부를 확인중이다. 그러나 벤처업계는 무엇보다 대덕밸리내 벤처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근본적이고 과감한 조치가 이뤄져야만 벤처기업들이 효율적으로 활동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벤처업계는 녹지보존구역이나 미활용부지를 교육·연구 및 실용화 관련 시설구역으로 전환하거나 현행 20%로 묶여있는 건폐율을 상향조정하는 방안을 추진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벤처창업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일부 연구소들도 연구단지 총면적의 44%인 녹지보존구역의 일부를 TBI(창업보육시설) 등이 입주가능토록 토지이용계획을 완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반면 과기부와 단지관리본부는 대폭적인 대덕연구단지 토지이용계획 변경방안에 소극적인 입장이다. 입주지정이후 1년이상 개발하지 않고 있는 일부 연구소 부지를 벤처단지로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중에 있을 뿐이다. 이달중 이들 연구소에 조속한 시일내에 개발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공문을 전달해 개발의지를 최종 확인, 오는 2001년까지 개발계획이 없는 연구소에 대해서는 관련 규정에 따라 입주지정을 취소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한편 대덕연구단지 일부 연구소는 대덕연구단지가 본래 단지조성의 취지를 벗어난 채 생산시설 입주 등으로 쾌적한 연구환경이 훼손되고 있다며 더이상의 환경훼손 행위가 없어야 할 것임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현재 대덕연구단지 834만평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20개와 기업부설연구소 23개, 정부투자기관 9개, 고등교육기관 4개, 공공기관 8개, 벤처창업 및 보육업체 300여개 등 370여개 기관 및 업체가 입주해 포화상태를 이루고 있다. 박희윤기자HYPARK@SED.CO.KR 입력시간 2000/08/23 18:16 ◀ 이전화면

관련기사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