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개(5,000억원·3,800억원)인 출자전환 안건 가운데 3,800억원안이 가결되고 3,000억원의 추가 지원안이 통과될 경우가 첫번째 시나리오다. 법정관리는 모면하되 상장폐지는 불가피하다. 현재로서는 가장 유력하고 쌍용건설이 최상은 아니지만 그나마 기대해볼 만한 카드다.
일단 채권단은 쌍용건설의 회생 가능성을 낮게 보기 때문에 출자전환에 대해 거부감이 크다.
그런데 상장폐지를 막으려면 5,000억원의 출자전환이 요구된다. 3,800억원일 경우는 상장폐지는 피할 수 없고 다만 수주를 하기 위한 최소자본만 유지된다. 줄줄이 걸려 있는 해외수주를 위해서라도 출자전환을 통해 목숨줄을 이어가게 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다.
만약 채권단이 당국의 압박에 못 이겨 3,000억원의 추가 지원을 가결한다면 출자전환은 최소로 줄일 가능성이 크다. 3,000억원을 추가로 지원해도 가압류를 건 군인공제회로 내년까지 1,200억원이 빠져나간다. 남는 1,800억원을 운용자금으로 활용하면 내년 상반기까지는 유동성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출자전환과 추가 지원이 가결된 만큼 경영 정상화 방안의 3안인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의 해임은 자동으로 진행된다. 채권단 입장에서는 대출로 마련한 추가 지원금 일부가 군인공제회로 넘어가는 게 불만이지만 당국의 압박에 성의를 보이는 조치로 볼 수 있다. 쌍용건설은 다시 한번 기회를 얻는 셈이지만 상장폐지와 김 회장의 해임으로 해외수주의 길이 사실상 막힐 것으로 보여 미봉책에 그칠 공산도 있다.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을 진행 중인 쌍용건설의 운명이 경각에 달렸다. 연말까지 자본잠식을 해소해야 상장폐지를 피할 수 있고 공사현장 가압류 사태로 자금이 묶여 추가 자금지원도 필요하다. 하지만 좀처럼 해결의 열쇠를 만들지 못하고 있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이 마련한 출자전환, 추가 자금지원 등을 뼈대로 한 경영 정상화 방안에 대해 다른 채권단은 계속해서 결정을 미루고 있다. 이순우 우리금융 회장 겸 우리은행장이 직접 군인공제회 측과 만나 담판을 벌여봤지만 소득이 없었다. 이대로 가면 상장폐지는 불가피하고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의 어두운 터널로 속수무책으로 들어갈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 채권단의 경영 정상화 방안에 대한 가부 결정 데드라인은 27일이다. 시나리오별로 쌍용건설의 명운을 짚어봤다.
두번째는 5,000억원 출자전환, 3,000억원 추가 지원이 이뤄질 경우다. 상장폐지와 법정관리를 모두 모면할 수 있지만, 현재로서는 확률이 매우 낮다.
3,000억원을 추가 지원해봐야 1,200억원이 출자전환에 쓰이고 또 1,200억원이 군인공제회로 간다. 운용자금으로 남는 돈은 600억원에 불과하다. 당연히 김 회장은 해임된다.
군인공제회가 가입류를 풀 가능성은 거의 없어 내년 상반기에 또 추가 지원이 필요할 수 있다. 채권단 입장에서는 내부적으로 배임 혐의가 제기될 수 있어 부담이 크다.
쌍용건설로서는 최상의 시나리오다. 상장폐지가 되지 않아 해외수주를 통한 재기를 노릴 것으로 보인다.
세번째 시나리오는 출자전환과 추가 지원안이 모두 부결되거나 출자전환이 되더라도 2안인 3,800억원이 가결되고 추가 지원이 부결될 때다. 이 경우 상장폐지 되고 법정관리로 들어간다.
군인공제회가 7개 사업장에 가압류를 걸어 자금이 돌지 않는 쌍용건설로서는 추가 지원이 절실하다. 3,000억원 지원이 부결되면 당장은 유보된 내부자금으로 버티겠지만 오래 견디기는 힘들다.
결국 법정관리행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1,400여곳에 달하는 협력업체가 줄도산 위험에 빠지고 쌍용건설이 수주했던 해외 건설사업도 줄줄이 취소돼 국내 건설업체들도 악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