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韓日충돌 위기 대화로 풀어야

독도근해에 대한 일본의 수로탐사 움직임으로 야기된 한ㆍ일 간의 충돌위기는 일본 측량선이 독도근해에 언제 나타나느냐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측량선 2척이 일본 사카이(堺)항을 떠났다는 보도 속에 정부는 나포까지 포함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어 한ㆍ일 관계가 최악의 사태를 맞을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은 양국정부 모두에게 부담이 된다는 점에서 외교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국정부가 겉으로는 강경한 방침을 천명하면서도 대화로 문제를 풀 뜻을 비치고 있는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미국정부도 중재에 나선 것으로 전해지고 있어 외교적 해결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양국정부가 냉정한 자세를 잃지 말아야 한다. 한ㆍ일 간에 긴장관계가 고조되는 것은 동북아 평화와 안정은 물론 경제 등 양국관계 전반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 한ㆍ일 관계는 독도와 야스쿠니(靖國)신사참배 문제가 있기는 했지만 일본의 비자장벽 제거로 분위기 반전이 기대됐었다. 일본이 양국의 긴장관계가 잠잠해질 만 하면 불쑥 망언 등으로 한국을 자극하고 반발하면 취소나 사과 등의 치고 빠지는 작전을 구사해 온 것은 잘 알려진 일이지만 이번 사태는 성격이 다르다. 이번에는 말만이 아닌 ‘수로조사’란 행동을 동반했다는데 문제의 심각함이 있다. 이 같은 일본의 태도는 철저하게 준비하고 나온 다목적 카드라고 할 수 있다. 독도가 분쟁지역 임을 세계에 알리는 것은 물론 한국이 6월 국제해저지명회의에서 독도근해의 해저지명 등록 추진과 미국과 일본 보다는 중국에 기우는 듯 한국의 자세를 견제하기 위한 것이란 풀이가 가능하다. 항상 준비 없이 있다가 이번처럼 일본이 한번 찌르면 가위 놀라 흥분하는 우리의 자세를 철저히 반성해야 한다. 독도근해 해저지명도 일본은 30년 전부터 관심을 가진 사항이란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번 수로조사문제를 외교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과 함께 이번 사태의 교훈을 살려 항상 준비하는 자세를 가다듬어야 한다. 외교적 해결도 철저한 준비가 뒷받침돼야 뜻하는 바를 이룰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