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기자실 통폐합을 뼈대로 한 이른바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과 관련, 언론계와의 대화가 잘 되면 (기자실을 폐쇄하고 기사송고실을 통폐합하는) 공사를 융통성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17일 한국언론재단 초청으로 가진 ‘언론인과의 대화’에서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과 관련된 논의 절차와 발표 문제는 법으로 된 것이 아니고 대통령이 결정한 것인 만큼 지금이라도 얼마든지 건의를 받을 수 있다”면서 이 같은 뜻을 내비쳤다. ◇제도 본질은 못 바꾸지만 부분 보완=노 대통령은 토론에 참석한 단체들이 정보공개를 확대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이 때까지 기사송고실 공사를 보류해줄 것을 거듭 요청하자 한발 물러선 자세를 취했다. 노 대통령은 우선 정보공개 확대 문제와 관련해 “담당 부처와 기자협회 등이 공동으로 TF를 만들자고 하면 충분히 반영하겠다”고 언급, 훈령 제정 등 정보공개 확대를 위한 ‘강제적이고 제도적인 조치’를 취할 것임을 내비쳤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와 관련, “18일부터 국정홍보처와 언론단체 대표들이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송고실 공사 보류와 관련해서도 노 대통령은 “(6월 말 공사 때까지) 시간이 충분히 있다. 협의에 진전이 있을 경우 시간이 충분하니까 공사를 조정하고 융통성 있게 하겠다”면서 한발 물러선 모습을 보였다. 노 대통령은 하지만 “‘보류’라는 용어는 회피하겠다”고 밝혀 언론계와의 대화가 여의치 않을 경우 공사 강행 등 기자실 폐쇄 조치를 밀고 나가겠다는 뜻을 보였다. 노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에 대해 언론계 일부에선 “무늬만 융통성일 뿐 사실상 폐쇄 강행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고 후속 대화 내용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반쪽짜리 토론회=토론회에는 일선 언론사 간부들과 기자들은 모조리 빠져 ‘반쪽짜리 토론회’로 전락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비교적 우호적인 인사들이 토론회에 참석했음에도 토론회는 노 대통령과 언론계간의 간극이 여전함을 여실히 보여줬다. 정일용 기자협회장은 “우리 공무원처럼 폐쇄적인 사회는 없다고 생각한다”며 “정부의 취지와 달리 이번 방안은 공무원들이 만세를 부르게 만든 것”이라고 비판했다. 신태섭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도 “정보 공개와 접근에 대한 실질적인 개선 조치는 백지 상태인 상황에서 기자실 폐쇄라는 물리적 수단부터 들고 왔다”고 정부 조치를 겨냥했다. 기사의 품질 문제를 놓고도 양측은 각을 세웠다. 노 대통령은 예전 언론을 ‘불량 상품’이라고 표현한 것을 새삼 거론하기라도 하듯 “정부가 피해자다. 품질 문제”라면서 공격했고 오연호 인터넷신문협회장은 “노 대통령은 편집국장도 아니고 사주도 아닌데 기사 품질을 걱정한다”며 “언론 수준의 문제는 언론계에 맡겨놓고 차라리 공무원들과 대화하라”고 공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