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월가 특파원 보고] 美 기업실적 호전이 금리인상 악재 눌러

미국 증시는 기업들의 실적개선 기대감이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감을 잠재우고 있는 양상이다. 뉴욕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20, 21일(현지시간) 앨런 그린스펀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의 ‘디스인플레이션 종식’ 선언이후 ‘기업실적 개선 ’과 ‘금리인상 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변수를 놓고 고민을 하다가 결국 기업실적 개선 쪽으로 기울었다. 22일 존 스노우 재무장관이 채권시장협회에 참석해 “미국 경제는 인플레이션 없이 견고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다”고 언급한데 이어 벤 버난케 FRB 이사도 “금리인상을 확신할 수 없다”고 얘기한 것이 방향전환의 중요 한 계기가 됐다. 그 동안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으로 주식을 사지 못하고 팔짱을 끼고 있었던 투자자들은 마치 존 스노우 재무장관의 발언을 기다렸다는 듯이 주식 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이날 뉴욕 주식시장에서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43.93포인트 (1.40%) 오른 1만461.20을 기록, 지난 3월 25일 이후 한달여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술주로 대표되는 나스닥 지수도 37.28포인트(1.87%) 오른 2032.91포인트로 3주일 여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쉴즈앤코의 시장 애널리스트인 존 휴이는 “시장은 당분간 금리가 오를 것 이라는 걱정을 멈춘 듯하다. 미국경기에 대한 향후 전망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주식시장이 강세로 돌아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소비심리가 회복되고 ‘고용조건’도 점차 회복 될 것이란 점을 들어 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오는 6월이나 8월에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전망하고 있다. 뉴욕=서정명특파원 vicsjm@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