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구직포기자 증가로 실업률 하락

한은 보고서지난해 경기침체 국면에서 구직 포기인력의 증가 등이 실업률 하락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제지표간 상충현상에 대한 검토'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2ㆍ4분기 경기침체기에서 실업률이 오히려 떨어진 것은 구직 포기인력이 늘어난 것이 주요인이며 서비스산업의 고용증대, 자영업자 증가 등 일시적 요인도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은 앞으로 경기가 호전됐을 때도 실업률이 크게 떨어지지 않을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실업률의 경우 지난해 분기별로 0.1~1.3%포인트씩 떨어졌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도 0.9~1%포인트씩 하락했다. 또 경기둔화기에 임금상승률이 크게 둔화되지 않은 것은 외환위기 이후 각 분야의 구조조정, 시장개방 등으로 급속한 변화가 이뤄졌지만 가격 메커니즘은 크게 바뀌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문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