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공기관 이전 '단일 혁신도시'로

"집중배치로 효과 극대화"

공공기관이 이전할 혁신도시 건설을 둘러싸고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빚어졌던 “집중배치냐” “분산배치냐”의 논란이 단일 혁신도시 건설로 사실상 일단락됐다. 이로써 내달 중 혁신도시 입지 선정 등 정부의 공공기관 이전 계획추진이 급 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28일 전국 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그 동안 복수의 혁신도시 건설을 요구하며 이전 대상 공공기관들과의 협약체결을 미뤄왔던 각 지자체들이 “공공기관 집중배치로 이전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는 정부방침 및 해당 공공기관들의 요구를 수용, 대부분 단일 혁신도시 건설로 가닥을 잡고 있다. 울산시는 최근 울산발전연구원의 용역을 통해 “집중배치가 파급효과가 크다”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지역 여론을 수렴한 결과 단일 혁신도시 건설 안을 사실상 대안으로 채택할 계획이다. 그 동안 복수의 혁신도시 건설을 요구하며 협약을 거부하던 경남도는 지난 25일 서울 프라자 호텔에서 추병직 건설교통부 장관, 김태호 도지사, 한행수 대한주택공사장 등 12개 공공기관 대표들이 모여‘공공기관 지방이전 이행 기본협약’을 체결했다. 경북도와 경북 이전 13개 공공기관들도 오는 30일 경북도청에서 단일혁신도시를 골자로 하는 ‘공공기관 이전 기본협약’을 체결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부산시도 오는 9월초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11개 기관과 협약을 맺을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