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금강산관광 축소 통고 당장 취소해야

북한이 대북사업을 총괄해 온 현대아산 김윤규 부회장을 상의 없이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게 했다는 트집을 잡아 금강산관광 인원을 하루 600명으로 축소하도록 일방적으로 통고한 것은 대북사업이 안고 있는 위험성을 다시 한번 말해준다. 현대그룹의 임원 인사까지 간여하려는 북한의 말도 안 되는 조치로 모처럼 자리를 잡아가던 금강산관광은 물론 대북경협이 타격을 받지 않을까 우려된다. 1998년에 시작된 금강산관광은 서해교전 때도 계속됐다. 지난 6월엔 관광객이 연인원 1백만명을 돌파했고 매일 1,000명 이상이 찾고 있다. 그동안 적자에서 허덕이다가 겨우 흑자를 내려는 시점에서,그것도 9월과 10월의 성수기를 앞두고 예약이 거의 끝난 상태에서 날벼락을 맞은 것이다.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이처럼 딴죽을 건다면 아직도 완전히 불식되지 않은 대북경협에 대한 불안감은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다. 금강산관광은 통일의 꿈이 서린 남북협력의 상징적 사업이다. 어느 한쪽이 애원하거나 자선사업을 하듯 선심을 베풀어 이뤄지는 사업이 아니다. 바뀐 담당자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불평을 하고 물러난 사람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할 수는 있으나 그렇다고 사업 축소를 요구한 것은 ‘협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같은 조치는 북한의 대외 이미지를 손상시킬 뿐 아니라 남북경협의 걸림돌이 된다. 이번 사태가 개성 시범관광이 끝난 시점에 벌어졌다는 점에서 북한이 관광요금을 더 받아내기 위한 포석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현재 북한은 개성관광에 금강산의 배인 1인당 150달러를 요구하고 있다. 너무 비싸다. 북한의 주장대로 통일의 염원을 담은 남북경협이 지나친 돈 벌이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적정한 가격으로 되도록 많은 사람이 관광을 하도록 해 이윤 확대를 모색하는 것이 남북경협의 참뜻을 살리는 길이다. 이를 위해서는 계약서의 충실한 이행이 선결돼야 한다. 계약서에도 없는 인사를 트집잡아 사업축소를 요구한다면 누가 북한에 투자하겠는가. 북한은 당장 금강산 사업 축소 통고를 취소해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