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그린스펀 수수께끼 VS 역그린스펀 수수께끼

"신흥국 안전자산 선호… 매각 가능성 낮아"

"美국채 매각 러시… 시장금리 급등할 것"

中, 美국채 매각설에 불안감 증폭… 연준 금리인상 앞두고 논쟁 불붙어


최근 중국의 미국 국채 매각설로 미 채권시장의 불안감이 증폭된 가운데 이른바 '그린스펀 수수께끼(Greenspan conundrum)'가 재연될지를 놓고 논쟁이 불붙고 있다. 한편에서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중국 등 신흥국이 통화가치 방어와 달러화 확보를 위해 미 국채를 매각하면서 미국의 시장금리가 급등하는 '역(逆)그린스펀 수수께끼'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한편에서는 달러 강세, 안전자산 선호, 낮은 인플레이션 등을 근거로 외국인들이 미 국채를 내던질 가능성이 낮다고 반박하고 있다.

그린스펀 수수께끼는 지난 2004~2006년 연준이 기준금리를 3.5%포인트나 올렸는데도 시장 장기금리는 소폭만 오른 기현상을 말한다. 중국 등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이 보유외환으로 미 국채를 사들인 것이 이유로 추정된다.


2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신흥국들이 통화가치 하락과 외국인 자금 유출을 막기 위해 달러 자산을 팔고 있다"며 "중국, 신흥국, 중동 산유국이 벌어들인 달러를 미 국채로 저축하는 과거 수십년 간의 사이클이 바뀌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FT는 "신흥국들이 2003년 1조달러에서 올여름 8조달러로 늘어난 외환보유액을 줄일 경우 심각한 충격이 발생할 것"이라며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 국채 수익률이 예상보다 더 오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흥국의 미 국채 매도가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와 미 경제회복에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시에테제네랄은 중국 인민은행이 지난달 11일 위안화 평가절하 이후 환율변동을 막기 위해 미 국채 등 최소 1,060억달러의 보유외환을 매각한 것으로 추정했다. 미 연준의 공식 발표로는 사실 여부가 불투명하지만 중국의 위탁처인 벨기에·스위스의 미 국채 보유량 감소가 증거라는 것이다. 또 중국발 리스크에 통화가치가 하락한 다른 신흥국들도 미 국채 매각 압력을 받고 있다는 게 니혼게이자이신문의 설명이다.

중국의 외화 유동성이 생각만큼 넉넉하지 않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중국의 올 7월 말 외환보유액은 사상 최고치였던 지난해 6월의 3조9,900억달러보다는 줄었지만 여전히 3조6,500억 달러에 이른다. 하지만 니혼게이자이는 "아프리카·중남미 자원개발 등 상당기간 회수가 어렵거나 운용처가 불분명한 외환보유액이 1조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 외환보유액이 '부풀려진 종이호랑이'일지 모른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달러화가 필요하면 미 국채부터 매각할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중국 등 신흥국이 미 국채를 대량 매도하거나 미 장기금리가 급등하는 사태가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아직은 많다. 실제 연준이 연내 금리 인상을 예고했는데도 2일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2.18%로 올 6월의 2.5%보다 더 떨어진 상황이다. 블룸버그 조사에서도 전문가들은 내년 중순 미 10년물 국채금리 수준을 2.82%로 내다봤다.


최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