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스노든 도피 방치로 미중관계 타격가나

미국 정치권, 러시아에는 스노든 본국송환 압박<br>에콰도르 등 망명 예상국가 상대 외교전 가속

미국 정부가 국가안보국(NSA) 등의 기밀 감시프로그램을 폭로한 전직 중앙정보국(CIA) 요원 에드워드 스노든을 송환하기 위한 외교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백악관은 스노든의 도피를 방조했다며 중국 정부에 대해 노골적인 불쾌감을 표시하고 나서 최근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첫 정상회담 이후 기대를 모았던 양국관계가 또다시 경색 국면에 접어드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았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24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스노든이 러시아로 간 것은) 입국 당국자의 기술적인 결정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을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이는 의도적인 선택”이라고 중국 정부를 겨냥했다.

카니 대변인은 특히 “이번 결정은 의심할 여지도 없이 미ㆍ중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중국은 양국의 상호신뢰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면서 “중국이 범죄인 인도에 관한 의무를 존중할 것이라는 믿음이 없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고, 이런 점을 중국 측에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패트릭 벤트렐 국무부 부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스노든의 도피를 허락한 홍콩 당국의 결정에 크게 실망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케이틀린 헤이든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성명에서 “우리 측이 스노든의 신병을 인도해달라고 요청했음에도 홍콩 당국이 스노든이 도망하는 것을 방치한 데 대해 실망스럽다”면서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과 홍콩 당국에 항의의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이어 카니 대변인은 스노든이 현재 러시아에 머무는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러시아 정부에 대해 스노든의 송환을 촉구했다.


그는 “우리는 러시아 정부가 스노든을 미국으로 돌려보내 법의 심판을 받을 수 있도록 모든 방안을 검토하길 기대한다”면서 “러시아 당국과 대화하고,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는 또 “스노든과 같이 중범죄 혐의로 기소된 사람들은 본국 송환을 제외하고는 해외여행이 금지된다”면서 망명지로 선택한 에콰도르를 비롯한 관련국과 접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카니 대변인은 스노든의 송환을 위해 무력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다양한 선택이 있지만 추측은 하지 않겠다”면서 “많은 국가들과 협력하고 있다고만 말하겠다”고 말했다.

이처럼 스노든 사태와 관련해 백악관이 강경한 대응으로 일관하는 것에 대해 일각에서는 이번 사안으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정책 행보’에 차질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오는 25일로 예정된 기후변화 관련 중대 정책 발표와 이달 말 아프리카 3개국 순방 등의 일정에 집중하는 백악관으로서는 사태가 확산하는 것을 어떻게든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런 강경 기조로 인해 스노든이 미국으로 송환됐을 때 오히려 더 파문이 커질 수도 있어 오바마 대통령이 ‘진퇴양난’에 빠졌다는 분석도 내놓고 있다.

특히 이번 사태로 중국, 러시아와의 외교관계에 심각한 균열이 발생할 경우 향후 시리아 사태, 한반도 정책 등에서도 공조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됐다.

한편 린지 그레이엄(공화ㆍ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은 이날 세르게이 키슬라크 미국 주재 러시아 대사에게 보낸 서한에서 “미국과 러시아가 건설적인 관계를 유지하려면 러시아는 미국 당국에 협조해 스노든을 체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레이엄 의원은 이번 사태는 양국 관계의 시험대가 될 것이라면서 스노든을 미국으로 송환할 것을 거듭 촉구했다.

스노든은 지난 23일 홍콩을 떠나 러시아 모스크바에 도착했으며, 이날 쿠바 아바나로 향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예정된 항공편에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러시아 언론은 전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