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창업자 양성 넘어 성공 CEO로 키우려면 "마케팅·판로확대 중점 지원을"

■ K-벤처 패러다임을 바꿔라

창업 예산 30%만 성장에 지원… "제품양산·사업화 적극 육성 필요"


지난 2008년 방송영화용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만드는 디엠라이트를 창업한 김동민 대표는 2013년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기술개발 사업화 자금 2억원을 지원 받았다. 중진공의 지원자금을 기반으로 디엠라이트는 기존 제품 대비 광도를 개선하고 수명을 늘린 방송영화용 LED 제품을 개발해 미국 등으로 수출하면서 지난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011년 휴대용 디제이 기기 제조업체 제이디사운드를 설립한 김희태 대표도 중소기업청의 자금을 지원 받아 지난해 7억원 규모의 수출실적을 올렸다. 김 대표는 "정부로부터 다양한 연계 지원을 받아 창업 이후 3~7년 차에 찾아오는 데스밸리를 극복할 수 있었다"며 "정부가 창업 실행 지원뿐만 아니라 창업 이후 성장 지원에도 더욱 관심을 가져야 단순 창업자를 넘어서 성공적인 경영자를 배출하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정부는 창업기업 수를 늘리는 데 비중을 두면서 창업 이후 기업에 대한 성장 지원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한 측면이 있었다. 지난해 중기청 창업 지원 예산(융자·보증자금 등 제외) 중 57.1%가 창업 실행 지원에 쓰인 데 반해 창업 이후 성장 지원에 쓰인 금액은 29.9%에 그쳤다. 이에 따라 정부의 창업 지원자금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창업 자금 관련 정책은 5,000만원 이하의 초기 창업 지원에 집중돼 있으며 초기 창업 자금은 상대적으로 구하기 쉬우나 창업 이후 기업 유지와 성장에 필요한 자금은 조달하기 어려워 정책의 실효성이 충분하지 못하다"며 "창업기업 성장단계별로 적재적소에 자금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창업 이후 사업화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을 대상으로 제품양산이나 마케팅·판로확보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이미순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우리나라는 기술 기반 창업이 많다 보니 초기 창업할 때 정부의 자금 지원이 집중되는데 기업이 성장하려면 마케팅을 잘해 제품을 많이 파는 게 훨씬 중요하다"며 "창업기업이 시장의 니즈를 파악해 신속히 제품을 양산하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창업기업에 대해 성공률 지표를 도입하자는 의견도 주목할 만하다. 성공률 지표가 만들어져야 정부의 창업 정책 중심축이 '창업자 양성'에서 벗어나 '창업자 성장 지원'으로 옮겨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류해필 한밭대 창업대학원 교수는 "현재 창업기업과 관련해 생존율 지표밖에 없는데 창업 이후 적자가 지속되거나 자본잠식 상태에 빠져도 폐업 신고만 안 하면 생존한 것으로 간주한다"며 "창업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 손익분기점(BEP)을 돌파한 기업을 집계해 성공률 지표를 만든다면 정부의 창업기업 지원정책도 강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동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