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의 급등은 미국 뿐이 아닌 전세계적 현상이며, 집값의 거품이 터질 경우 세계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도 있다고 뉴욕타임스가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방 2개 짜리 아파트가 100만 달러(한화 약 10억원)에 달하는 것은 뉴욕만의 사정이 아니다"면서 "최근 주택가격 급등은 지역적, 미국내 현상이라기 보다는 전세계적 현상"이라고 밝혔다.
미국의 경우 지난 1971년부터 2003년까지 연평균 집값 상승률은 1.3%에 불과했지만, 2003년 3ㆍ4분기 부터 지난해 3ㆍ4분기까지 1년동안의 집값 상승률은 13.0%에달했다.
또 영국, 스페인, 아일랜드, 프랑스의 경우도 1971년부터 2003년까지의 연평균집값 상승률은 각각 3.6%, 3.6%, 3.4%, 1.7%에 그쳤지만, 2003년 3ㆍ4분기 부터 1년동안의 상승률은 각각 13.8%, 17.2%, 10.8%, 14.7%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뉴욕타임스는 "이같은 국제적인 주택 붐은 세계화의 부산물이기 때문에 걱정스럽다"면서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 주고 집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금융시장이 점점 더개방화되고, 국제화되고, 서로 연계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펜실베이니아대 와튼스쿨의 수잔 워처 부동산학 교수는 "지금 주택 붐이 너무많은 나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 정말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신문은 전세계적 부동산 붐은 미국의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를비롯, 여러 나라의 중앙은행들이 부추긴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 2000년 주가 하락과 기술주 붕괴에 직면, 경제에 미칠 피해를 제한하기 위해 FRB가 금리를 급격히 인하했고, 이어 EU 중앙은행 등 다른 나라 중앙은행들도 같은 조치를 취해 이자가 낮아지면서 전세계 주택시장에 불을 붙였다는 것.
리먼 브라더즈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존 르웰린은 "미 FRB와 다른 중앙은행들이 주식시장에서 잃은 부를 주택에서 되찾도록 하기 위해 이런 붐을 부추겼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런 현상이 앞으로도 별 탈 없이 계속될 수 있느냐에 있다.
영국 리딩 대학의 부동산경제학자인 마이클 벨은 "주택가격이 크게 오른 것은대부분의 유럽 국가들도 미국과 마찬가지"라고 말하고 "이 붐은 곧 절정에 이를 것"이라면서 "계속 올라갈 수는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 국제경제연구소의 프레드 버그스텐 소장은 국제유가의 갑작스런 상승 등다른 경제적 충격과 맞물려 주택시장의 거품이 터질 경우 세계 경제 전반에 큰 타격을 가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연합뉴스) 이래운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