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초·중학교, 국·영·수 수업 편중 심화

교총, 교육과정 개편후 실태조사<br>중학교 절반이상 英·數시간 늘려


새학기부터 과목별 수업시수의 20%까지를 학교 자율로 증감할 수 있게 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상당수 초ㆍ중학교에서 국어ㆍ영어ㆍ수학 과목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 따르면 올해 1월15일∼2월28일 전국 251개 중학교의 교과편성 현황을 조사한 결과, 71.3%에 달하는 179개교가 올해부터 영어 수업시수를 3년간 기준시수(340시간)보다 평균 44.8시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수학(기준시수 374시간)은 학교 두 곳 중 한 곳(51.7%)꼴로 수업시수를 전년보다 늘린 것으로 나타났으며 늘어난 시수는 평균 34.3시간이었다. 영어와 수학 시수를 줄인 학교는 없었다. 국어의 경우 20개교에서 수업량을 기준시수(442시간)보다 평균 34.0시간을 늘렸지만 오히려 34.0시간을 줄인 학교도 한 곳 있었다. 국영수 수업의 편중이 심화되면서 자연스레 '비입시' 과목의 수업시수는 평균 28.7∼34.6시간씩 줄어들었다. 한문ㆍ제2외국어 등 선택과목 수업을 줄인 학교가 129개교로 가장 많았고 기술ㆍ가정(199개교), 도덕(51개교), 사회ㆍ역사(35개교), 과학(18개교), 음악ㆍ미술(17개교), 체육(8개교) 등이었다. 이 같은 국영수 편중 현상은 역시 2009 개정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초등학교 1∼2학년도 나타났다. 전국 334개 초교를 대상으로 한 같은 조사에서 응답학교의 52.1%(174개교)가 1학년 국어 수업시수를 평균 10.3시간 늘렸고 수학의 경우 166개교(49.7%)에서 평균 8.9시간을 늘렸다고 답했다. 2학년 국어와 수학은 각각 153개교(45.8%), 180개교(53.9%)에서 평균 10.4시간, 8.7시간 수업시수를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바른생활'과 '슬기로운 생활'은 각각 111개, 120개 초교에서 수업시수가 평균 5.2∼5.8시간 줄었으며 '즐거운 생활'도 수업시수가 줄어든 학교(56개)가 늘어난 학교(49개)보다 많았다. 서혜정 교총 정책개발국 부장은 "2009 개정교육과정이 국영수 편중현상을 부를 것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나왔지만 이러한 현상이 실제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과학기술부는 "국영수 과목에 대한 총 수업시수 증대 상한선을 설정하도록 하는 등 일부 과목이 소홀히 다뤄질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며 "수업시수 증감 시 각 교과의 학습목표 도달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결정하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