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원화절상 소프트랜딩 힘써야"

최근의 원화가치 급등과 관련, 정부가 무리한 환율 방어보다는 환율 절상 속도를 `예측가능한 수준`으로 조절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7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계는 환율전쟁중`이란 보고서를 통해 “미국 및 유로경제권이 직접적인 환율경쟁을 피하면서 그 대상이 한국ㆍ중국 등으로 옮아지는 모습”이라며 “현재로선 (정부가) 더 이상 시장개입을 통해 원화절상을 방어하기 힘들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특히 “달러대비 엔화가치 상승은 이미 충분히 이뤄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며 “원화가치가 달러화 대비는 물론 엔화대비로도 높아질 경우 자동차, 전자 등 대부분의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목에 상당한 타격을 줄 것”이라고 우려했다. 전경련은 이에 따라 정부가 환율방어보다는 원화절상의 `소프트랜딩(연착륙)`을 통해 기업들이 (급격한 절상으로) 피해를 입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련 국제경제팀 박대식 부장은 “외환당국은 무리하게 환율지지 정책을 펼 것이 아니라 절상속도를 조절하는데 정책의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며 “기업들 역시 거래지역별로 결제수단을 다양화하고 보유통화도 달러위주에서 벗어나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전경련은 올해 달러-유로 환율과 엔-달러 환율은 현재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가운데 유로당 1.3달러, 달러당 105엔 전후에서 결정될 것이지만 한국의 원화와 중국 위안화는 지속적으로 절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문성진기자 hnsj@sed.co.kr>

관련기사



문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