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신종 악성코드 줄고 스파이웨어 늘어나"

올해 국내에서 발견된 신종 악성코드가 지난해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악성코드는 아니지만 개인 정보를 빼가거나 PC 이용을 방해하는 해킹 수단인 스파이웨어는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18일 안철수연구소[053800]에 따르면 올 1월에서 9월까지 국내에서 새로 발견된웜, 트로이목마 등 악성코드는 2천269개로 전년 동기 3천603개에 비해 37% 줄어들었다. 종류별로는 웜 999개, 트로이목마 919개, 드롭퍼 168개가 각각 발견됐다. 반면 올해부터 통계 산출이 가능해진 스파이웨어의 경우 올 3분기까지 1만474개의 신종이 발견돼 악성코드의 4.6배에 달했다. 분기별로도 1분기 2천342개, 2분기 5천514개, 3분기 2천618개로 나타나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안철수연구소 관계자는 "웜, 트로이목마 등 기존 해킹 툴의 경우 기술 분석이완벽해지고 있어 신종은 줄고 있다"며 "반면 금융정보 탈취 등 특정 목적에 따라 전문 해커에 의해 행해지는 스파이웨어는 1~2년전부터 출몰하기 시작한 이래 급증하는추세"라고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유리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