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유럽 시장 지역별 맞춤 정보 제공"

SetSectionName(); "유럽 시장 지역별 맞춤 정보 제공" 중기청, 10대 지원과제 발표 김태성기자 kojjang@sed.co.kr

중소기업청은 1일 한-EU FTA 발효를 맞아 국내 중소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해 맞춤형 정보 제공 및 수출 마케팅 지원 강화 등을 포함한 10대 지원과제를 발표했다. 우선 오는 10월까지 전국 지방청에서 EU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역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현장 실무교육을 총 22회 실시할 예정이다. 교육 과정은 인증수출자 지정방법 및 FTA를 이용한 수익창출 전략 등의 기초과정과 EU시장에서 성공한 기업 사례 소개 및 지역 전문가에게 구체적인 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하는 심화과정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또 만화 형식의 FTA 활용 성공사례집을 발간하고 수출 중소기업 간 네트워크 활성화도 유도한다. 이밖에 지방 중기청에 상주한 비즈니스 지원단의 원산지 관리 전문가가 수출 관련 상담을 무료로 진행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의 수출마케팅 지원도 강화해 EU시장을 겨냥한 해외전시회 개최 및 시장개척단과 수출컨소시엄 파견을 올해 총 25회, 내년에는 35회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현재 독일에만 있는 수출인큐베이터(BI)는 내년까지 폴란드 등 동유럽 지역에 추가로 개설해 해외 진출 초기 중소기업의 조기정착도 돕기로 했다. FTA로 피해를 보는 기업에 대한 대책도 제시했다. 무역위원회의 무역조정지원기업으로 지정된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융자를 통해 최대 8년간 30억원의 자금을 지원한다. 무역조정지원 신청은 FTA 발효로 인한 수입량 증가로 6개월간 총매출액 또는 생산량이 25% 이상 감소했거나 감소가 예상되는 기업이 대상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