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40평이상 사업포기 속출할듯

리모델링 증축범위 규제 파장-대부분 15평이상 확장추진…타산 안맞아<br>"규제 피하자" 인가단지 사업 가속도…전문社 시장 주도 장기론 활성화 가능성

정부가 아파트 리모델링 증축범위를 전용면적 20%이내, 최대 7.6평으로 제한함에 따라 리모델링 사업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40평형 이상 대형 아파트의 경우 사업성 악화로 리모델링 추진 자체를 포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리모델링 사업이 본궤도에 오른 일부 단지의 경우 내년 3월 규제를 피하기 위해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분석된다. ◇사업성 악화, 리모델링 큰 타격=대부분의 리모델링 추진 단지들은 전용면적이 30% 안팎 늘어나는 방향으로 사업계획을 잡고 있다. 이를 20%로 제안하면 사업성이 크게 악화돼 리모델링 사업 추진이 불투명하게 된다. 특히 40평형 대 이상 대형 아파트의 경우 리모델링을 통해 15~20평의 전용면적 확장을 추진하고 있어 이번 규제로 사업자체를 포기하는 곳도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7.6평의 전용면적 확장을 노리고 1억원이 넘는 공사비를 부담할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1,350세대로 초대형 리모델링 단지로 주목을 받았던 동부이촌동의 A아파트의 경우 최소 평형이 45평형으로 사업추진이 불투명할 것으로 보고 있다. 50ㆍ60평형대로 구성된 워커힐아파트도 사업추진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는 기존에 수주한 리모델링 단지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뚜렷한 대책이 없는 실정이다. 또 신규 리모델링 수주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보고 정부 대책을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건설업체의 한 리모델링 담담 임원은 “발코니 등 서비스 면적을 늘리면 15~17평까지 확장효과가 있다는 정부의 발표는 립서비스에 불과하다”라며 “이번 정부 규제는 리모델링을 아예 포기하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단지 추진속도에 가속도 붙을 듯=하지만 사업 추진속도가 빠른 일부 리모델링 단지의 경우 내년 3월부터 적용되는 이번 정부 규제를 피하기 위해 사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주민 80%의 동의로 리모델링 조합을 인가 받은 방배동 궁전아파트의 경우 사업 추진이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시공사를 선정했지만 주민 동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조합인가를 받지 못한 단지는 주민동의 확보에 사활을 걸 것으로 전망된다. 압구정 5차, 미성아파트, 개포 한신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하지만 주민 동의가 불투명해 내년 3월 이전 사업계획을 승인 받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이번 정부 규제로 리모델링 시장의 주도권이 대형 건설업체에서 리모델링 전문 업체로 옮겨갈 것으로 분석된다. 개별 가구 차원의 소규모 리모델링은 꾸준히 활성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집마련정보사 김영진사장은 “리모델링에 대한 규제로 최근의 리모델링 확산세는 다소 주춤하겠지만 재건축의 마땅한 대안이 없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리모델링 시장 전망은 밝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