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해외 일자리 통합 정보망 만든다

■ 청년 일자리 창출 방안 추진<br>현지 멘토링 시스템 도입… 실시간 취업 관련 상담도<br>대통령 직속 TF 구성해… 일자리 창출지수 개발


박근혜 정부가 기업별ㆍ대학별 일자리 창출 평가제를 도입하고 해외 취업 통합 정보망(K-무브 정보망)을 구축하는 등 청년층 일자리 창출방안을 본격 추진한다. 이는 새 정부의 국정목표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서 청년층 일자리 확충인 우선돼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이달 중순 출범 예정인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에 추진단급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기업별∙대학별로 일자리 창출 평가지수를 도입하기로 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당초 기업별 평가지수를 통해 일자리의 성격과 임금수준, 채용 방식 등을 평가하기로 한 것에 대학별 지수를 추가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3일 "실제 일자리 창출은 '명문대' 이외에 다른 대학들이 더 우수한 경우가 많다. (평가지수를 도입해) 대학의 서열화를 없애려고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자리 창출 평가 지수가 도입되면 매년 2회에 걸쳐 청년층의 일자리를 어느 정도 창출했는지 평가하고 데이트베이스(DB)를 구축하게 된다. 기업과 대학에 점수를 매겨 청년층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발굴하도록 유인한다는 복안이다.

인수위 산하 청년특별위원회에서는 일자리 창출 평가지수 도입을 위해 올해 안에 연구용역을 시작하고 하반기 중 대기업과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시험 평가를 진행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또 다음해 상반기까지 공공기관 및 지방자치단체로 2015년 상반기에는 국내 진출 해외 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 스펙 등을 우선하는 기업 인사팀 중심의 채용 방식을 벗어나기 위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이용한 '소셜 리크루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청년층의 해외 취업을 돕기 위해 '해외일자리 통합 정보망(K-무브 정보망)'이 올해 안에 구축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이 관계자는 "해외 일자리와 관련된 모든 정보망을 통합하는 K-무브 정보망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정보망을 이용하면 그동안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어 알기 힘들었던 해외 취업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 정보망 내에 '현지 멘토링 시스템'을 도입해 현지 관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취업 관련 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 관계자는 "(멘토링 시스템에 참여하는 관계자들은) 1년에 두 차례 열리는 K-무브 포럼에 초청하고 일정 수준의 포상을 제공하는 등 인센티브를 줄 예정"이라고 말했다.

K-무브는 청년층의 해외 진출을 독려하기 위한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과제다. 박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 "우리 청년들이 한반도에만 머무르는 시각에서 벗어나서 세계 속에 성공 신화를 쓰길 기대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논의가 되고 있는 추가경정예산에도 정보망 구축을 포함한 관련 예산 배정을 기획재정부에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무브를 담당하는 추진단은 이달 중순께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의 공식 출범과 함께 발족할 예정이다. 현재 실무추진단은 고용노동부∙산업통상자원부 등 7개 정부부처와 우주인 고산씨가 설립한 창업 진흥 단체인 '타이드 인스티튜트' 등 민간 단체 10개팀, KOTRA∙코이카 등 공공기관, 해외에서 20~30년 이상 일한 경험이 있는 은퇴자들로 구성됐다. 추진단이 발족하면 현재 7개 부처에 산재돼 있는 일자리 관련 예산도 추진단에서 통합 관리하게 된다.

이 관계자는 "박 대통령이 그동안 강조한 '부처 간 칸막이 제거'가 K-무브 추진단을 통해 나타나는 셈"이라고 말했다.


권경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