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나누면 커집니다] 교보생명

간병인 양성 등 저소득층 자활 도와

교보생명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사례로는 '다솜이간병봉사단' 을 꼽을 수 있다. 저소득 여성 가장을 선발해 전문 간병인으로 양성한 뒤 저소득층 환자를 무료로 돌보게 하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으로 지난 2008년 최근 대통령 표창을 받기도 했다. /사진제공=교보생명

교보생명은 공익사업이나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한 성장'의 관점에서 추진하고 있다. 생명보험사의 특성에 맞게 건강과 돈, 지식 등의 결핍에 따른 삶의 역경을 극복하는데 집중해 짜임새 있고 차별화된 사회공헌활동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최근 사회적기업 육성 대통령 표창을 받은 '교보다솜이간병봉사단'을 꼽을 수 있다. 봉사단은 저소득 여성 가장들을 선발해 전문 간병인으로 양성한 뒤 저소득층 환자를 무료로 돌보게 하는 사회적 일자리 창출 프로그램으로 지난 2003년부터 시작했다. 20명으로 시작한 간병인 수는 매년 증가해 현재 250명으로 늘어났으며, 그 동안 간병서비스를 받은 환자의 수도 2만7,000명을 넘어섰다. 봉사단은 지난 2007년 11월에는 정부로부터 '1호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받았고 이듬해에는 '사회적기업 육성 유공 대통령표창'을 받기도 했다. 현재 재단법인 '다솜이재단'으로 독립해 적극적으로 유료 간병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스스로 수익을 내고 있다. 교보생명은 교보다솜이간병봉사단 외에도 저소득 가정에서 태어난 이른둥이(미숙아)의 치료비를 지원하는 '다솜이 작은 숨결 살리기'와 60세 이상 은퇴 노인의 일자리 제공과 사회 참여를 돕는 '다솜이 숲해설봉사단', 임직원과 회사가 조성한 펀드로 소년소녀가장과 결연을 맺어 지원하는 '사랑의 띠잇기' 등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임직원들의 일상적인 자원봉사 활동도 왕성하다. 지난 2002년 창단한 '교보다솜이사회봉사단'의 단장은 신창재 회장이 직접 맡고 있다. 현재 회사내 임직원의 봉사팀만 해도 230개에 이르며, 참여 인원도 임직원과 FP(설계사)를 포함해 1만3,900명에 달한다. 이들 자원봉사팀은 영아원, 양로원, 장애인시설 등 지역의 사회복지단체 등과 결연을 맺어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다. 매월 100개 팀이 봉사활동에 나서고 있고 활동횟수는 1,630회에 이른다. 연중 하루도 빠짐없이 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짜임새 있고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모델로 평가돼 전국경제인연합회의 'IMI경영대상' 사회공헌부문 대상(2008년)과 서울복지대상(2010년)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교보생명이 펼치고 있는 사회공헌활동은 지원 대상자의 역량개발을 도와주고, 다양한 사회적 일자리를 마련해 주는 등 스스로 역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회적으로 나눔을 재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게 특징이다. 또한 일회성의 시혜적인 도움을 넘어 사회적으로 지속적인 지원(안전망)을 견인해내는 사회공헌 활동으로 평가 받고 있다. 교보생명은 이밖에도 대산농촌문화재단, 대산문화재단, 교보생명교육문화재단 등 3개의 공익재단을 운영하면서 국민체육진흥, 문화예술 지원사업 등 다양한 공익 프로그램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