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1년내 갚을 빚만 160조원… 악재만 늘어가는 러 경제

서방 제재로 자금조달 어려워… 투자자 이탈 가속땐 큰 타격


말레이시아항공 여객기(MH17) 추락과 관련해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러시아 제재 강화를 놓고 논란을 벌이는 가운데 앞으로 1년 내에 러시아가 상환해야 할 채무가 1,570억달러(약 16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약 서방국들의 제재수위가 높아져 투자자들의 이탈이 가속화할 경우 러시아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23일(현지시간) 블룸버그비즈니스위크에 따르면 모건스탠리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러시아 정부, 국영 및 민간기업, 은행 등이 앞으로 1년 내 상환해야 할 부채가 1,570억달러에 이른다고 밝혔다. 이 중 350억달러를 오는 12월까지 마련해야 하며 내년에도 3·4분기나 4·4분기 등 하반기로 갈수록 부채상환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모건스탠리는 전망했다.


러시아 기업과 금융회사들은 미국의 제재로 서방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워진 상황에 당장 빚을 갚을 자금 마련에 비상이 걸리게 됐다. 안더스 아슬룬드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새로운 자금줄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며 "러시아 국영은행들이 국내에서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고 중국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그 외에는 자금을 구할 곳이 없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러시아 투자에 대한 주요 글로벌 투자자들의 불안감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23일(현지시간) 세계 최대 국부펀드인 노르웨이국부펀드가 유럽연합(EU)의 대러 추가 제재 추진으로 총 76억달러 규모의 러시아 투자자산 비중을 재조정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총자산 규모 8,900억달러의 노르웨이국부펀드는 지난해 러시아 증시에 36억달러, 국채 및 회사채에 40억달러를 투자했다.

노르웨이 재무부 대변인은 이날 블룸버그에 "대러 제재로 국부펀드의 투자가 영향을 받게 된다면 새로운 상황에 적응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스 올라프 시베르센 노르웨이 의회 재정위원장도 "현재의 러시아 상황은 해외 투자에 위협적"이라고 지적했다. 노르웨이국부펀드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여파에 따른 러시아 경제 불안으로 올 1ㆍ4분기에 러시아 국채에서만도 9.7%의 손실을 봤다.

여기에 2003년 러시아 정부가 당시 최대 석유회사인 유코스의 재산을 몰수했던 것과 관련, 28일 1,030억달러 규모의 손해배상 재판 결과가 나올 예정이어서 러시아 경제에 또 하나의 타격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유코스의 전 소유주들은 러시아 정부의 불법적 몰수로 손해를 입었다며 2007년 헤이그 상설중재재판소(PCA)에 러시아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서방의 경제재제를 받는 러시아가 또다시 수천억달러 규모의 징벌적 배상 판결을 받게 됐다"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더욱 코너에 몰릴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서방은 추가 제재 논의를 본격화하고 있다. 벤 로즈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부보좌관은 "미국은 러시아에 대한 새로운 차원의 제재 논의에 들어갔으며 EU에 이를 따르라고 압박하고 있다"며 "유럽 국가 역시 (제재 의견이) 더욱 결집돼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