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미래 인재상 실종” 문ㆍ이과 통합 개정안에 과학계 ‘부글’

교육부가 공개한 문ㆍ이과 통합형 개정안에 대해 과학계가 “사회적 합의와 미래 인재상이 설정 안 된 개정 작업은 중단하라”며 여전히 강한 불만을 제기했다.

과학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과학 인사들은 지난 12일 교육부가 공개한 문ㆍ이과 통합형 개정안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쏟아냈다. 개정안이 어떠한 미래 인재상을 목표로 하는지 알 수가 없다는 것. 특히 지난해 말 수시개정에서부터 각계 각층의 여론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고 교육부가 독단적으로 일을 밀어붙이는 데 대해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과학계는 지금이라도 개정 작업을 중단하고 2009년 개정 수준을 유지한 채 사회적 합의를 충분히 거치자는 입장이다.

12일 한국교원대에서 열린 공청회에 참석한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의 한 관계자는 “교육부의 3가지 안이 공개됐지만 과학계 인사 대부분은 우리가 그토록 주장했던 인재상에 대한 고민이 빠져 있어 어느 것도 의미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며 “개정안을 만들면서 국민과 학계를 설득하려는 노력이 전혀 없었다”고 꼬집었다.


사실 이번에 공개된 안에서는 그동안 논란이 됐던 과학 필수이수단위가 1ㆍ3안에서 12단위, 2안에서 14단위로 제시돼 현행 10단위보다 다소 늘어났다. 그러나 이는 국어ㆍ영어ㆍ수학ㆍ과학ㆍ사회 등을 기존 15단위에서 10단위로 일제히 줄인 지난해 말 수시개정과의 비교일 뿐이다. 2009년 개정과 비교하면 여전히 필수이수 단위가 더 적다.

관련기사



게다가 이번에 배치된 과학 필수이수단위는 16~18단위에 이르는 사회(역사 포함) 과목에 비해서도 한참 적은 수준이다. 그동안 교육부는 “과학교육을 자꾸 축소하려 한다”는 과학계의 비판에 대해 “과학계의 의견을 거의 다 반영해 개정안을 꾸릴 것이며 과학 시수는 사회 시수와 사실상 동일하게 맞출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하지만 결국 좁혀진 안에서는 “과학계가 한국사를 포함한 사회 교과와 과학 교과 필수이수단위를 동일하게 지정해달라고 요청했으나 이에 대한 문제점 지적과 반대의견이 많아 추가 논의를 해야 한다”고 말을 바꿨다.

과학ㆍ사회 과목 시간을 모두 더 해도 30시수 미만이 돼 30~40시수에 달했던 2009년에 비해 크게 적다. 이는 문ㆍ이과 통합 과정이 국ㆍ영ㆍ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홀대를 받던 과학과 사회 과목을 강조하는 데 목적이 있다던 교육부의 주장과 전면 배치되는 부분이다.

과학계는 자꾸 필수 이수시간을 줄이고 개별 학교의 자율권을 늘릴수록 국가 인재 교육 방향이 어그러진고 주장했다. 이들은 앞으로도 쉬지 않고 청와대, 정부 부처, 국회 등에 문제 제기를 하겠다는 방침이다.

김명환 대한수학회장은 “교육 개정안에 대한 과학계의 주장을 마치 밥그릇 싸움처럼 이해하는데 과학 교육이 강화된다고 해서 기존 학계 사람들이 얻는 이익은 전혀 없다”며 “과학 시수를 무턱대고 늘리자는 주장이 아니라 시수가 적더라도 교육부에서 설득력 있는 인재상과 그 근거를 대면 이해하겠다는 것”이라고 답답해 했다. 그는 “지금 학교에 늘려주는 자율권이 도대체 누굴 위한 것인지 궁금하다”며 “무조건 학습량을 줄이면 사교육만 늘어날 가능성이 높고 이공계 기피현상도 강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