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박근혜 비서 출신 친이계 진영 의원 "이제 친이계는 거의 사라졌다"

"저축銀 사태로 국민 분노하는데… 당은 부패에 무감각" 비판<br>새 지도부 역할은 서민경제 살리기<br>지지부진한 뉴타운은 해제해야


"친이계는 이제 거의 사라졌습니다." 진영(사진) 한나라당 의원은 8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더 이상 계파라는 것이 의미가 없어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친박근혜계가 뭉쳤던 것은 친이명박계와의 관계에서 생존하기 위한 것"이었다며 "이제 친이계에서 친박계로 중심이 이동했으니 갈등이 일어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전 대표의 비서실장으로 친박계 인사였던 진 의원은 지난 6∙2 지방선거에서 서울시당 공천심사위원장을 둘러싼 갈등 때문에 친이계로 변신, 현재 친이계 의원 모임인 민생토론방의 간사를 맡고 있다. 그런 그가 친이계의 종언을 고한 셈이다. 진 의원은 한나라당이 부패에 무감각하다고 꼬집는 등 강하게 비판하며 자성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저축은행 사태 때문에 국민들이 부패에 분노하고 있는데 한나라당이 그렇게 돈이 많이 들어가는 선거만 하면 어떻게 하나"며 "전당대회만 해도 저비용 구조로 치러질 수 있도록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새 지도부의 역할에 대해서는 "서민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 의원은 "현 정권이 친기업 정책으로 낙수효과를 기대했는데 효과가 없다"며 "양극화 사회는 보수적 이론만 가지고는 해결되지 않으므로 정책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서울시당위원장으로서 서울시의 뉴타운정책에 대해서도 쓴 소리를 했다. 진 의원은 "부동산 가격이 오르지 않는 시대이기 때문에 수익성을 기반으로 한 뉴타운은 한계일 수밖에 없다"며 "주민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 후 반대가 심하거나 (추진이) 지지부진한 곳은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이미 지정된 뉴타운 지역을 해제하면 오히려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또 서울시가 추진하고 있는 휴먼타운을 언급하며 "휴먼타운처럼 소규모로 (구역을 지정해) 열악한 부분에 인프라를 깔아주는 방식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휴먼타운은 일반주택 지역에 편의시설과 방범 등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개발과 보존을 병행하기 위한 취지에서 도입됐다. 이를 위해 그는 지난 6월1일 첫 회의 이후 활동이 뜸했던 재개발대책특별위원회를 다시 소집해 서울시와 협의해나갈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