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5월 8일] 서울 한복판까지 확산된 AI, 안 막나 못 막나

[사설/5월 8일] 서울 한복판까지 확산된 AI, 안 막나 못 막나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가 끝내 서울까지 침투했다. 지난 4월 초 전북에서 처음 발생한 AI가 울산, 경북 영천, 대구 수성, 경기 안성 등을 거쳐 드디어 서울 한복판인 광진구 어린이대공원 근처 자연학습장에서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AI가 전국으로 번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광진구청 청사 내 동물사육장에서 키우다가 4월28일 폐사한 닭과 꿩은 물론이고 4일 닭과 오리를 무더기로 살처분할 수밖에 없었던 강원도 춘천의 경우도 모두 재래시장에서 사온 닭 등에서 발병해 방역에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 AI가 더 이상 농촌 지역 문제만이 아니고 대도시까지 깊숙이 들어와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방역시스템이 작동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 보건당국은 뒤늦게 7일 서울 지역 모든 의료기관에 AI 비상경계령을 내렸다. 다행히도 AI 의심환자로 신고된 광진구 주민 5명은 모두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지만 여전히 서울시민은 불안에 떨고 있다. 신속한 살처분이 오염경로를 차단하는 유일한 방안인데도 불구하고 광진구는 꿩이 폐사한 후 닷새나 지나서 AI 감염 여부를 감정 의뢰했으며 어린이대공원에 늦게 통보함으로써 어린이날인 5일에는 가족 나들이에 나섰던 50만명이 위험에 노출됐다. 당국의 늑장대응은 2005년 질병관리본부가 내놓은 '사람끼리 퍼지면 3만명까지 죽을 수 있다'는 경고도 아랑곳하지 않는 듯하다. 최근 국내에서 번지고 있는 AI는 고온현상에도 불구하고 계속 확산돼 변종일 가능성이 높고 종전보다 독성과 전파력도 강해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AI의 인간 감염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혀 경각심을 높여준다.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AI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방역체계 전반을 재점검하고 허점을 보완해야 한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의 늑장대응으로는 AI 확산을 막을 수 없다. 아울러 차단방역이 이뤄지려면 피해농가 등에 현실적인 시가보상을 보장해 발병을 숨기는 일이 없도록 철저한 지원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