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급진전되고 있는 인간과 관련된 포스트게놈 연구분야를 전세계적으로 주도할 `유전자 기능 대량분석 신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는 성과를 거뒀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박종구(47) 교수는 자체 고안한 새로운 형태의 LC형 안티센스(LC-antisense)를 이용하는 초고속 대용량 유전자 기능분석 시스템을 개발한데이어 이를 이용해 56개의 간암 성장 관련 유전자를 일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계명대에 따르면 박 교수는 과학기술부 연구프로그램, 바이오벤처기업 ㈜웰진과산학연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연구 착수 5년여만에 이같은 결실을 거둬 향후 포스트게놈 연구분야를 전세계적으로 주도할 독자적인 시스템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이 같은 연구결과는 미국 현지 시각으로 내달 1일 오후 1시(한국시각 2일오전 3시)에 발행될 예정인 세계 정상 권위의 학술지인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의 커버스토리로 선정됐다고 대학측이 밝혔다.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박 교수팀의 연구결과를 `인 디스 이슈(In This Issue)'섹션을 통해 별도로 소개할 정도로 비중있게 다룰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교수팀이 개발한 신기술은 특정 질병세포 및 조직을 대상으로 수천 내지 수만개 유전자들의 기능을 초고속으로 일괄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분석의 속도및 정확성이 선진이 보유한 기존 기술보다 500배 이상 향상된 것으로 평가됐다.
박 교수는 "최근 전세계적인 공동연구의 결과로 30억 개의 인간 염기서열을 비롯한 동식물, 미생물의 게놈 정보가 속속 밝혀지고 있다"면서 "그러나 포스트게놈시대의 패러다임은 `게놈정보라는 무한한 자원으로부터 누가 먼저 유용한 유전자들을 대량으로 신속히 발굴해 지적 소유권을 확보하느냐'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유용한 유전자를 신속히 발굴, 지적소유권을 확보하는 것에 따라 미래 의약 및 생명과학 시장을 주도할 수 있으나 지금까지 해외 연구진들에 의해 개발된 게놈 관련 기술들은 유전자 기능분석의 속도성, 결과의 불일관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가지고 있고 막대한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을 안고 있었다"고 소개했다.
이에 따라 박 교수는 향후 30-50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됐던 포스트게놈 연구의 완성 기간이 절반 이상 단축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대규모 확정적 유전자 기능 규명 방법 도입을 통한 생명 및 의과학 전분야의국가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핵산 안티센스 치료제 발굴,유전자 치료 등의 소재 발굴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한편 박 교수팀은 이미 이 기술을 이용해 5종의 주요 인체 암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670종의 유용한 유전자를 발굴했으나 연구 자금 부족으로 추가적인 세부 연구는 지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연합뉴스) 이덕기.한무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