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행정타운' 대안 급부상

충청發 경제대란 우려 차선책 검토 가능성 커

‘시간을 갖고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 정부가 꺼낼 카드는 무엇일까. 국민투표 강행이라는 정치적인 판단을 배제하면 선택은 보다 좁아진다. 행정수도계획에 버금가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정책이 예상된다. 당장 정부로서 충청권을 완전히 외면하기도 힘들다. 천정부지로 치솟았던 충청권의 부동산 가격이 폭락할 경우 주변 건설사업이 중단되는 한편 충청권 경제의 마비현상도 우려된다. ‘충청발 경제대란’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어떻게든 충청권 행정수도를 대신할 대안이 절실한 상황에서 ‘행정타운’이 대안으로 급부상하는 분위기다. 행정타운은 연기ㆍ공주 등 행정수도 이전 대신 과천이나 대전처럼 정부청사 일부만을 옮기자는 것이다. 열린우리당 김진표ㆍ강봉균 의원 등은 21일 국회 재경위 국정감사에서 이헌재 부총리 겸 재경부 장관에게 “과천에 부처를 옮겼듯 정부기관 일부를 옮기는 방안은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대해 물었다. 이에 대해 이 부총리는 “시간을 갖고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혀 행정타운 조성 가능성을 인정했다. 또한 정부와 여당뿐만 아니라 한나라당과 시민단체 등도 행정타운 조성에는 큰 반대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야당 역시 어떤 식으로든 대책마련에 나서야 할 뿐만 아니라 ‘수도이전’이 아닌 ‘균형발전’에는 반대할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한나라당의 경우 지난 대선에서도 이회창 후보가 행정수도 이전에는 반대하는 대신 대전에 과학기술부 등 일부 부처의 지방이전을 추진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우기도 했다. 정치적인 부담도 상대적으로 덜하고 충청권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행정타운 조성은 점차 주목을 끌고 있다. 관계당국도 예전부터 검토작업은 시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