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소액신용ㆍ가계대출 심사 강화

앞으로 금융회사의 가계대출과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등 소액 다수계좌에 대한 검사방법이 표본검사에서 전수검사로 바뀐다. 이에 따라 은행과 카드사, 상호저축은행 등의 가계대출과 현금서비스, 소액신용 대출 등이 더 엄격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감독원은 올해부터 대출액수는 크지 않지만 계좌수가 많아 검사범위가 제약됐던 가계대출, 신용카드채권 등 소액 다수계좌를 검사할 때 새로 개발한 전산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전수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종전까지 특정 금융기관의 소액다수계좌를 검사할 때는 일정기준에 따라 추출한 표본계좌에 대해서만 건전성 분류의 적정성 여부 등을 심사해 전체 소액다수계좌에 대한 검사는 하지 않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회사가 콤팩트 디스크(CD)에 모든 소액다수계좌의 현황 등을 담아 제출하면 전산 소프트웨어로 정밀분석한 뒤 현장검사에서 문제가 있는 계좌만 집중적으로 살펴볼 수 있어 검사인력과 기간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금융회사도 CD1장에 200만∼300만 계좌를 담을 수 있어 검사자료 작성 등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통 은행의 경우 가계대출계좌가 100만개 안팎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 관계자는 "소액다수계좌에 대한 전수검사가 실시되면 가계대출과 현금서비스 등에 대한 심사도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홍길기자 what@sed.co.kr>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