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금으로 암 치료한다

전상용ㆍ이인현 카이스트 연구팀 ‘금 나노 항암백신’개발<br>치료비용 줄이고 효과 가늠할 수 있어


금으로… 획기적인 '암 치료법' 나왔다
전상용ㆍ이인현 카이스트 연구팀 ‘금 나노 항암백신’개발치료비용 줄이고 효과 가늠할 수 있어

권대경기자 kwon@sed.co.kr



















금을 이용해 백신이 암 조직에 잘 전달됐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치료 단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암 치료법이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카이스트(KAIST) 전상용 교수와 이인현 박사 연구팀이 금 나노입자 표면에 암 모델항원(REP)과 면역보조제를 결합해 ‘금 나노 항암백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지금까지 일반적인 항암백신은 환자의 체외에서 활성화시킨 면역세포를 혈액으로 주사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이었다. 이 방법은 제조단계가 복잡하고 비용이 비싼데다 몸 속에 주입한 백신이 원하는 곳에 얼마나 도달했는지를 가늠하기 어려운 약점을 갖고 있다. 치료효과를 정확히 가늠하기 어려운 것도 이 때문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지름이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수준으로 매우 작은 금 알갱이를 이용하면 항암백신의 위치를 추적하면서도 효능을 높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금 나노 항암백신을 근육주사하면 면역세포가 모여있는 림프절로 백신이 직접 이동하는데, 백신은 곧바로 암에 특이적인 항체를 생산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킨다. 또 금 나노입자는 X-rayㆍCT(컴퓨터단층촬영)와 같은 영상기기로 위치 추적이 가능해 백신이 목표한 조직에 잘 전달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나노크기의 금 알갱이에 치료 물질을 실어 암 조직에 보냄으로써 암을 치료하고, 금속의 특성상 치료 물질이 어느 정도 전달됐는지도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독일 화학회가 발간하는 화학 분야 학술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피인용지수 13.455)’ 최근호에 실렸다.















권대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