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주 '빅3' 주자 全大 규칙 싸고 수싸움

민주당 차기 당권주자를 정할 전당대회가 10월3일로 정해졌으나 ‘빅3’주자간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전대 규칙을 둘러싼 수싸움이 본격화되고 있다.


‘전대 룰’ 가운데 현재 논란이 되는 것은 집단지도체제 도입 여부와 경선 방식 두 가지다. 전당대회 준비위원회는 당초 24일 회의에서 표결 처리 등 어떤 방법으로든 결정한 후 27일 당무위원회의를 열어 인준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당권과 대권을 분리한다는 선언적 내용과 최고위원회의 구성만 확정했을 뿐, 중요 쟁점 사항에 대해서는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당권, 대권 분리도 정확한 시기는 추후 결정하기로 미뤄졌다.

관련기사



전대 준비위 내부에서 처리가 늦어지면서 비대위가 나서야 하는 게 아니냐는 의견도 일각에서 감지된다. 이에 대해 박지원 비대위 대표는 “지금 룰에 대해 의견을 표시하는 순간 당이 당권 다툼의 소용돌이에 빠진다”며 적극 개입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다.

경선 방식에 대해서는 순수 대의원 투표와 여론조사 결과의 일부 수용, 그리고 전 당원 투표제(전면 국민참여경선제)가 거론된다. 조직표가 강한 정 전 대표 진영에서는 대의원 투표제를, 손 고문 측은 대의원 여론조사 등에서 앞서는 점을 감안해 대의원 투표와 여론조사의 혼합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 고문은 전 당원 투표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전해졌고, 민주당 내 비주류 모임인 쇄신연대도 이를 주장하고 있다.

또한 정 고문은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적극 주장하고 있다 그는 “1부, 2부로 나눠 지도부를 뽑는 것은 집권에 도움이 안 된다”며 “당내 비중 있는 사람이 지도부에 들어가 힘을 실어줘야 정권에 맞서 제1야당의 구실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 전 대표는 당대표 시절부터 집단지도체제에는 부정적 의견을 피력해 왔으며, 손 고문도 단일지도체제에 호의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