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車 노조간부들 개입 채용비리 전면수사 착수

검찰, 3명 긴급체포…회사측까지 확대 가능성


현대車 노조간부들 개입 채용비리 전면수사 착수 검찰, 3명 긴급체포…회사측까지 확대 가능성 지난해 기아자동차 광주공장의 근로자 채용 비리 사건에 이어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도 노조간부들이 개입된 채용비리 혐의가 포착돼 검찰이 전면 수사에 나섰다. 특히 검찰은 이번 사건이 조직적인 채용비리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회사측에 대한 수사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어 파장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울산지검 특수부는 10일 오후 현대차 울산공장에 대해 전격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이날 법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아 현대차 울산공장 인사팀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서 신입사원 입사원서와 인사기록, 컴퓨터 관련자료 등 일체를 압수했다. 검찰은 이에 앞서 현대자동차 전 노조대의원 정모씨와 현 대의원 김모씨, 전 노조집행부 간부 김모씨 등 3명을 채용비리 혐의로 긴급체포해 조사를 벌였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2002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회사나 단위 공장별로 신입사원을 모집할 때 입사할 수 있도록 추천해주고 1인당 수백만~수천만원씩 금품을 받은 혐의다. 그동안 현대차 울산공장의 채용 비리와 관련, 정밀 내사를 벌여온 검찰은 현대차 전 노조위원장 이모(45)씨와 전 노조대의원 김모씨 등의 계좌로 채용사례금으로 보이는 거액의 돈이 수시로 흘러들어간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에 따라 이날 긴급체포된 노조간부 외에도 계좌추적을 통해 확인된 입금인 등 관련자들 20여명을 소환, 조사를 벌이고 있으며 이르면 다음주 중으로 사건의 핵심인물인 전 노조위원장 이모씨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특히 검찰은 현대차 생산직 입사원서에도 기아차와 같은 '추천인란'이 존재하는 사실을 확인, 이들 추천인에 대해서도 조사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어서 이번 사건이 전방위로 확산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목된다. 검찰은 실제 최근 2~3년 동안 신규 입사자들의 추천인 200~300여명에 대한 명단을 확보, 정밀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으며 지난해 기아차 사건 당시 현대차 노사가 모두 부인해온 노조의 생산직 입사인원 할당 등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울산=곽경호 기자 kkh1108@sed.co.kr 입력시간 : 2005-05-10 18:02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