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에 대형 화물차 주차할 곳이 없다

공영주차장 턱없이 부족하고 조성할 마땅한 부지도 없어<br>4대중 1대 도로변 불법주차… 매연·사고 등 주민 불편 가중

부산지역 화물차량 공영주차장이 턱없이 부족해 대형화물차의 주차난이 심각하다. 공영화물차고지 조성이 시급하지만 마땅한 부지가 없다. 10일 부산시에 따르면 올해 3월 현재 시에 등록된 화물차량은 모두 18만9,061대며 이 가운데 5t 이상 대형 화물차량이 1만866대다. 트레일러 및 특수차량을 모두 합하면 2만8,000여대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부산의 현재 화물차 주차면은 남구 감만동 화물휴게소(88면), 녹산공단 화물터미널(400면), 4부두 인근 임시 주차장(150면) 등 638면에 불과하다. 오는 2013년 금정구 노포동(334면)과 회동동(412면) 화물차 공영주차장이 건립된다고 하더라도 총 1,384면에 그쳐 대형 화물차량 수에 비해 주차면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여기에 부산 곳곳의 화물 주차면을 모두 합하더라도 8,000여면 가량으로 절대적인 주차면수가 부족하다. 이 같은 실정 탓에 부산지역 대형 화물차 운전자들은 4명 중 1명 꼴로 도로변에 불법주차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화물연대 부산지부와 민주노동당 부산시당이 지난달 28일부터 이틀간 화물연대 조합원 224명을 대상으로 주차장 실태조사를 한 결과 '길가에 주차하고 있다'고 답한 조합원이 24.55%(55명)에 달했으며 '공영주차장을 이용한다'는 조합원은 2.68%(6명)에 그쳤다. 노포동과 회동동에 건립되는 공영주차장을 이용하겠다는 운전자도 37.5%(84명)에 불과했다. 조합원의 대부분은 주차위반 과태료를 납부하고 있는데 연간 20만원 이하가 69.2%(155명)로 가장 많았고 50만원 이상 낸다는 운전자도 18.3%(41명)나 됐다. 이들 조합원들은 "사설 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월 7만~28만원을 지불해야 돼 엄두를 낼 수 없으며 그나마 근처에 마땅한 주차장이 없어서 노상 주차를 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또 조합원들은 "부산에 화물차 주차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권역별로 공영주차장 부지를 마련하는 등 시 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대형 화물차량의 주차시설 부족으로 주택가와 도로변, 학교 주변 등에 불법주차가 이뤄지면서 이로 인한 매연과 소음, 교통체증, 교통사고 위험 등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가고 있다. 시는 이 같은 사정을 알면서도 마땅한 부지가 없어 추가적인 공영주차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민과 화물차주의 고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만 화물차고지 부지가 없어 해결 방안을 찾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