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변별력 보다 EBS 연계율 유지 노력”

안태인 수능 출제위원장 문답

201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를 주관한 안태인(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출제위원장은 18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변별력이 조금 상실되더라도 EBS 교재와의 연계율을 확실히 지키고자 했다”면서 “9월 모의평가에서 수리가형이 어려웠다는 분석이 있어서 좀 쉽게 출제했고 전체적으로 지난해 수준을 거의 그대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전반적인 난이도 수준은. ▦지난해 수준을 거의 그대로 유지했다. 지난 9월 모의고사에서 수리 가형이 조금 어려웠던 것으로 분석돼 본 수능에서는 조금 쉽게 전년도 수준으로 출제했다. -EBS 교재 연계율과 EBS 교재의 문제를 변형없이 출제한 비율은. ▦지난 6월ㆍ9월 모의평가에서 연계율이 각각 50%, 60% 수준이었는데 본 수능에서는 연계율을 70% 이상으로 높였다. 그러나 EBS 교재와 연계한다고 해도 동일한 문항을 그대로 출제하지는 않았다. 기본 개념과 원리를 이해해야만 풀 수 있다. 연계율에 대한 체감 정도는 학생의 준비 정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학교 공부를 충실히 하고 EBS 교재로 보완한 학생이라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기존 모의평가에서는 상위권 학생의 체감 정도가 높고 중하위권 학생은 낮다고 한다. -EBS 연계율에 대한 체감 정도가 상위권 학생이 높고 중하위권이 낮다면 중위권 변별력에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 ▦우리도 상당히 염려하는 부분 중 하나이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변별력이 조금 상실되더라도 연계율을 확실하게 지켜도록 노력했다. EBS와 연계해 출제된 문항 중에서도 다소 변별력 높게 개발된 것이 있다. -EBS 연계 문항 이외에 나머지 30%가 변별력 있는 문제 아닌가. ▦EBS 교재와 연계하지 않은 나머지 30%에 고난도 문항이 몰리지 않을까 우려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 EBS 교재와 연계한 70%와 나머지 30%에서 쉬운 문항과 중간 난이도 문항, 고난도 문항을 골고루 배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