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전자 싱크링크D램 개발/99년부터 양산돌입

◎시험제품 세계 최초… 싱크로너스보다 처리속도 4배 향상현대전자(대표 정몽헌)는 3일 기존 싱크로너스 D램에 비해 처리 속도를 4배 이상 높인 싱크링크 D램 시험제품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현대는 오는 99년 부터 이 제품에 대한 양산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시험제품은 램버스 D램과 함께 차세대 D램으로 평가되는 고속 D램으로 데이터를 4백㎒의 속도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속도가 중앙처리장치(CPU)에 비해 느려 컴퓨터 성능 향상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D램의 단점을 해결하게 됐다고 현대는 설명했다. 특히 경쟁 제품인 램버스 D램에 비해 제조 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싱크링크 D램은 현재 일반 D램의 「TSOP」 패키지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램버스 D램의 경우 「마이크로BGA」라는 새로운 패키지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또 램버스 D램과는 달리 기술이 개방돼 있어 특허료를 지불할 필요가 없으며 칩크기도 작아 수율도 크게 높일 수 있다. 현대 관계자는 『이번 개발은 현대의 세계적인 D램 기술을 입증한 것』이라며 『이를 계기로 8백㎒에 해당하는 고속 싱크링크 D램을 개발하는 터전을 마련하는 등 우리나라 D램 경쟁력을 한층 높이게 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는 삼성 NEC 미쓰비시 등으로 구성된 「싱크링크 D램 개발을 위한 컨소시엄」의 의장업체로 활동하고 있다.<김기성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