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계 '경영권 방어대책' 목소리 높인다

KT&G에 대한 적대적 인수합병(M&A)이 현실화하고 국회의 금융산업구조개선법(금산법) 개정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재계가 "경영권 방어를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일 태세다. 재계는 미국의 기업사냥꾼 칼 아이칸이 공공연히 KT&G에 대한 적대적 M&A에 착수하는 등 외국자본의 경영권 위협은 엄연한 현실이 되고 있는데도 정부는 국내기업에 방어수단을 제공하기는 커녕 금산법 개정 등을 통해 오히려 족쇄를 채우고 있다고 지적한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이승철 상무는 26일 "삼성은 금산법 개정과 관련한 국회의 논의결과를 받아들이겠다고 했지만 이는 재계 전체의 현안이기도 하기 때문에 삼성의입장과 관계없이 지난 23일 국회 재경위 금융법안심사소위를 통과한 개정안의 상임위 및 본회의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하동만 전경련 전무도 "적대적 M&A에 대한 우려가 높고 방어대책이 미흡한상황에서 의결권 제한과 주식의 처분명령은 국내기업의 경영권 방어를 더욱 어렵게할 우려가 있다"면서 국회의 재고를 촉구했다. 이 상무는 "현재로서는 금산법 개정 과정에서 재계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국내기업의 경영권 방어를 위한 대책 마련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상무가 도입 필요성이 있다고 밝힌 경영권 방어대책은 △황금주, 차등의결권제도 △적대적 M&A시 신주 제3자 배정 △의무공개매수제 부활 △독약처방(포이즌 필)△전략산업에 대한 정부의 M&A 거부권 등이다. 이 상무는 "이런 제도의 도입 필요성을 그동안에도 줄곧 강조해 왔지만 KT&G에대한 적대적 M&A 시도로 여론이 크게 호전되고 있는만큼 앞으로는 더욱 공세적인 캠페인에 나설 것"이라면서 "정책 건의문을 내는 것은 물론 필요하다면 언론에 입장을밝히고 토론행사도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삼성그룹 관계자도 "국회의 금산법 개정 논의 결과를 받아들인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이로 인해 경영권 방어가 취약해지는 것은 현실이므로 정부가 적대적 M&A 대책을 마련해 줬으면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소버린과의 경영권 분쟁을 겪었던 SK그룹의 한 임원도 "기업은 경영권을 위협받게 되면 이에 대한 대책에 온 신경을 집중할 수 밖에 없고 다른 모든 활동은 위축된다"며 "경제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도 경영권 안정대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