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분기 성장률 4.9% "예상 상회"

GDI 성장률도 12분기래 최대…경기회복세 가시화


올 2ㆍ4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을 뛰어넘으면서 경기 회복세가 가시화하고 있다. 민간소비 증가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의 회복과 수출 호조, 증시활황에 따른 금융 서비스업 성장 등에 힘입어 2ㆍ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보다 4.9% 증가했다. 실질 국내총소득(GDI) 성장률도 12분기 만에 최고치를 기록해 하반기로 갈수록 체감경기가 소폭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07년 2ㆍ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ㆍ4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보다 1.7% 성장했다. 지난 2005년 4ㆍ4분기(1.7%) 이후 6분기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4.9% 성장했다. 이는 민간연구소는 물론 한은의 예상치도 웃도는 것이다. 한은은 이달 초 발표한 하반기 경기전망에서 2ㆍ4분기 성장률을 전분기 대비 1.4%(전년동기 대비 4.7%)로 예상했다. 이는 건설업 부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업이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제조업이 증가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또 설비투자와 재화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지속한 것도 원인으로 풀이됐다. 제조업은 반도체, 선박 및 승용차 등의 호조로 전기 대비 3.6% 성장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등의 증가세가 둔화된 반면 금융보험업의 경우 증시활황 등에 힘입어 전기 대비 3.6%, 전년 동기 대비로는 8.1%나 증가했다. 하지만 민간소비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8%에 그쳐 1ㆍ4분기의 1.5%보다 둔화됐다. 실질 GDI는 전기 대비 1.5%, 전년 동기 대비로는 4.7% 성장해 2004년 2ㆍ4분기의 4.9%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전년 동기 대비 GDP 성장률과 GDI 성장률 격차는 0.2%포인트로 2002년 2ㆍ4분기(0.2%) 이후 가장 작은 격차를 보였다. 하지만 2ㆍ4분기 성장률이 예상보다 호조를 보인 데는 재정 조기집행 등 일시적인 요인도 작용했고 경기 자체가 강한 성장세로 전환됐다고 보기 어렵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