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건강한 여름나기] 갑자기 배가 아파 당황한 적 없었나요?

피서, 응급처치법 알고 출발을<br>벌레 물린 곳 얼음 등으로 찜질하고 감염 방지위해선 절대 긁지 말아야<br>구토·설사인한 탈수 막으려면 소금·설탕 넣은 보리차물 마시길

장마철이 끝난후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됨에 따라 산과 바다로 바캉스를 떠나는 사람들 또한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뜨거운 햇빛과 거친 야외환경으로 인해 부상의 위험도 증가한다. 휴가철 여행중 일어날 수 있는 크고 작은 사고 및 이에 대한 대처법을 미리 알아두면 보다 즐거운 여행이 될 수 있다. ◇벌레에 물리거나 벌에 쏘인 경우 벌레에 물리거나 벌에 쏘이면 대개 물리거나 쏘인 부위만 빨갛게 되고 가려운 정도로 끝날 수도 있지만 일부는 알레르기 증상으로 쇼크에 빠질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한다. 벌의 침은 핀셋 등을 이용하여 뽑아 주는 것이 좋다. 물린 부위는 찬 물수건이나 얼음 등으로 찜질하며, 암모니아수나 항히스타민제 연고를 바르고 2차적으로 세균에 감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물린 부위는 긁지 말아야 한다. ◇귀에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 귀에 작은 벌레가 들어가게 되면 귓속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심한 통증과 잡음으로 고생하게 된다. 귀를 밝은 쪽으로 향하게 하거나 손전등으로 빛을 따라 나오게 유도하도록 한다. 그래도 안 되면 알코올이나 깨끗한 물을 귓속에 떨어뜨려 벌레를 죽게 하여야 한다. 이 때 이물질을 빼내려다가 잘못 건드려 안쪽으로 들어가면 꺼내기가 더욱 힘들어지므로 조심해야 한다. 또한 귀지가 많은 상태에서 습기가 차거나 물이 들어가면 점차 팽창해 청력이 줄어들거나 균의 서식처가 돼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성냥개비 등으로 무리하게 물을 닦아 내려다 상처를 내면 염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 해야 한다. ◇칼에 베이거나 피부가 찢어진 경우 날카로운 물건에 긁히거나 벤 상처는 흐르는 물로 잘 씻어낸다. 상처가 1cm 이내인 경우는 소독한 후에 상처가 벌어지지 않도록 압박해 반창고를 붙이면 된다. 상처가 1cm이상이거나 깊을 경우에는 흉터가 남기 때문에 병원에 가서 봉합해야 한다. 또한 선홍색의 피가 박동치듯이 나오면 동맥손상을 의미하므로 상처부위에 깨끗한 수건이나 헝겊을 눌러 지혈을 하여 심장보다 높게 위치시킨 후에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햇볕에 서 있다가 쓰러진 경우 열 탈진, 열 실신, 열 경련, 일사병 등 열 증후군은 강한 햇볕이 내리쬐는 한낮에 무리하게 일이나 운동을 할 경우 땀을 많이 흘려 몸 안에 수분과 염분이 모자라 생긴다. 구토, 메스꺼움, 두통, 근육경련, 의식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노약자, 어린이, 만성질환자에서 잘 나타난다.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진 경우 시원한 곳으로 옮긴 후 다리를 높여 준다. 그래도 의식이 돌아오지 않고 열이 올라가면 열사병과 같은 위험한 상황이므로 찬물에 적신 수건 등으로 덮어주고 얼음 찜질을 계속해 체온을 낮춰 주면서 가까운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음식이나 물갈이로 복통과 설사가 심한 경우 날씨가 더워지면 식중독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아이들은 환경이 바뀌면 물갈이를 해 구토, 설사, 복통 등을 일으킬 수 있다. 구토나 설사로 인한 탈수를 막기 위해서는 끓인 보리차물에 설탕과 소금을 넣어 전해질을 보충하여 주면 좋고 설사가 가라앉으면 소화가 잘 되는 죽을 먹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복통이 있는 경우 수건 등으로 배를 따뜻하게 해 주면 좋다. ◇자외선에 오랫동안 노출된 경우 적당한 일광욕은 혈액순환을 돕고 비타민 D의 합성과 살균작용을 유지시킨다. 그러나 과도한 햇빛은 자외선의 영향으로 기미와 주근깨가 심해지고 화상을 입기 쉽다. 화상을 입은 경우에는 냉수로 20분씩 하루 서너 번 찜질을 하는 것이 좋다. 찬물 찜질을 하는 경우 비누나 샴푸를 사용하면 피부를 건조하게 하고 자극을 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물질이 생기면 가급적 터지지 않게 하고, 만약 터졌다면 잘 소독해줘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