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밴쿠버 동계올림픽] 0.002% 정부, 스포츠용품산업 지원 예산 '쥐꼬리'

우수체육용구사업 지원 20년간 172억에 그쳐<br>자전거·스크린 골프등 실용스포츠에 편중돼<br>용품제조업은 '관심밖'


정부는 국산 스포츠용품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나름대로 지원책을 실시하고 있지만 분야가 워낙 제한적인데다 규모 자체도 작다 보니 일선 기업들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2002년 아시안게임과 월드컵 개최를 앞두고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난 2001년 본격적인 차원의 스포츠 산업 육성대책을 내놓았다. 국내 스포츠용품을 세계적인 브랜드로 육성하겠다는 취지 아래 스포츠용품 인증제도를 비롯해 ▦우수 체육용구 생산장려 및 융자지원 확대 ▦국제스포츠산업박람회 개최 등을 핵심 내용으로 제시한 것. 문화체육관광부가 매년 한차례 원자재 구입이나 연구개발(R&D) 등의 자금을 융자해주는 우수체육용구사업의 경우 1991년 이후 20여년간 모두 111개사에 172억원이 지원되는 데 머물러 있다. 산학연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스포츠산업기술개발사업도 2007년 17억원에 이어 2008년 28억원, 2009년에는 57억원이 각각 지원되는 데 그쳤으며 올해에는 70억원의 예산이 배정돼 있다. 매년 관련 예산이 늘어나고 있다고 하지만 전체 정부 예산의 0.002%에 불과할 정도로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셈이다. 그나마 지원된 R&D자금도 자전거와 운동기구, IT기술 융합용품, 스크린골프 등 실감형 스포츠 등에만 집중돼 대부분의 스포츠용품 제조업체들은 자금지원 대상에조차 오르지 못하고 있다. 한 스포츠용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1차 가공 위주의 스포츠용품 제조업체들은 주무부처인 문화부와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중소기업청에서도 하나같이 찬밥신세"라며 "사실상 정부 정책의 변방에 놓여 제대로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정부는 또 국내 업체를 글로벌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 유망업체 위주로 해외 로드쇼를 개최하거나 해외박람회 참여비용을 지원하는 등 세계시장 진출지원방안을 내놓고 있다. 체육과학연구원의 이상철 박사는 "최근 김연아 열풍 등으로 국내 스포츠 산업 및 관련 용품 시장이 크게 성장한 것은 사실이지만 국내 제조업 기반이 취약해 글로벌 해외 브랜드의 내수시장 점유 비중만 키워주고 있다"며 "R&D 지원 비용 확대 등 영세한 스포츠용품 제조업체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부는 이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포츠 산업 육성을 위한 모태펀드를 조성하기로 하고한국개발연구원(KDI)에 예비 타당성 검사를 의뢰한 상태다. 연간 200억원씩 향후 5년 동안 총 1,000억원의 기금을 조성해 스포츠용품 제조업체들과 관련된 지원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이르면 올 정기국회에 관련 법안 및 개정안이 상정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