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미래경쟁력 인재양성에 달렸다] <5·끝> 2단계사업, 미래한국의 초석

"인재 확보" 韓中日 3국경쟁 뜨겁다<br>中 '211·985공정' 통해 세계 일류大추진<br>日도 '21세기 COE' 로 연구중심대학 건설<br>"2단계 BK21, 연구전념 환경 만들어 줘야"


[미래경쟁력 인재양성에 달렸다] 2단계사업, 미래한국의 초석 "인재 확보" 韓中日 3국경쟁 뜨겁다中 '211·985공정' 통해 세계 일류大추진日도 '21세기 COE' 로 연구중심대학 건설"2단계 BK21, 연구전념 환경 만들어 줘야" 세계 경제의 중심이 아시아 지역으로 옮겨 오면서 역내 경쟁도 점차 뜨거워 지고 있다. 특히 한ㆍ중ㆍ일이 어깨를 맞대고 있는 동북아시아 지역은 정치ㆍ경제ㆍ군사ㆍ문화 등 모든 면에서 경쟁과 협력의 긴박한 다이나미즘(Dynamism)이 전개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창출, 그리고 그것을 활용하는 고급 인력의 양성을 위한 동북아의 3국간 경쟁도 치열하다. 미래 국가 경쟁력의 결정적 변수라 할 핵심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경쟁에서 서로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내년 3월부터 시작될 BK21 2단계 사업에서 과학기술분야 핵심 인재 양성과 세계적인 연구중심대학 건설에 보다 많은 국민적 관심이 요청되고 있다. ◇중국, ‘211 공정’과 ‘985 공정’ 추진= 중국은 90년대 중반에 시작된 ‘211 공정’과 ‘985 공정’이라는 두개의 핵심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 일류대학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95년 중국은 국가교육위원화와 국가계획위원회 주도로 ‘211공정 총체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100여개 대학과 800여개 중점학과를 집중 육성하고 이들중 몇 개는 세계 선진수준에 도달시켜 고급인력 양성의 전진 기지로 삼는다는 목표였다. 1기로 96년∼2000년까지 25개 대학, 300개 중점학과를 지원한 데 이어, 2기로 2001년부터 현재까지 95개 대학, 800개 중점학과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경비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공동 분담하며, 1기의 경우 137억위안(약 2조원)이 투입됐다. 이와는 별도로 중국은 ‘소수정예 원칙’에 입각하여 청화대, 북경대, 남경대, 천진대 등 34개 대학을 중점 지원하는 ‘985 공정’을 수립, 98∼2002년까지 1기 사업을 마치고 2003년부터 현재까지 2기사업을 진행중이다. 1기의 경우 청화대, 북경대에 18억 위안이 투입됐으며, 난징대, 후단대 등에도 국가와 지자체가 6억~12억 위안을 각각 투입했다. ◇일본, ‘21세기 COE’로 연구중심대학 건설=후발주자인 일본은 지난 2002년부터 ‘일본판 BK21 사업’이라고 할 수 있는 ‘21세기 COE(Center of Excellence)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는 제3자 평가를 기본으로 하는 경쟁원리에 의해 각 대학의 우수 연구 프로젝트를 지원함으로써 ▦ 국제경쟁력을 갖춘 세계적 교육ㆍ연구 거점을 구축하고 ▦ 대학원 교육을 강화해 연구 역량을 획기적으로 함양한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일본이 이처럼 대학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에 나선 것은 창조적 인재 육성 및 국제경쟁력 있는 연구중심대학 건설의 필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2002년 182억엔, 2003년 334억엔, 2004년 367억엔, 2005년 382억엔 등으로 해마다 지원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생명과학, 화학ㆍ재료과학, 정보ㆍ전기ㆍ전자, 의학, 수학ㆍ물리ㆍ지구과학, 기계ㆍ토목ㆍ건축, 인문사회과학 등 분야별로 매년 신규사업단을 선정한다. 2002년에는 113개 사업단, 50개 대학이, 2003년에는 133개 사업단, 56개 대학이 지원을 받았다. ◇10~20년후 한국의 ‘미래’에 투자한다=한국의 BK21 프로젝트는 체계적인 인력양성을 위해 해방이후 처음으로 만들어진 대형 국책사업이었다. 비록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6만여명의 석박사과정 대학원 학생들을 지원, 현재 각 대학과 기업, 연구소등에서 일하는 핵심 인재들을 키워 내는 성과를 낳았다. 2단계 사업에서도 정부는 1단계의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유망 기술분야의 핵심 고급인력을 집중 지원하고, 세계 10위권의 연구중심대학과 지역혁신을 선도할 지방 특성화 대학들을 육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앞으로 7년간 전개될 이 사업의 성패에 따라 바이오(BT), 나노(NT), 로봇(RT), 정보통신(IT) 등 10~20년후 한국이 ‘먹고 살’ 산업분야가 결정된다. BK21 사업은 일부 복지정책적 의미도 함축하고 있다. 가난한 이공계 출신 과학도들에 대한 연구비 지원 없이는 미래의 과학기술인력 양성은 ‘공염불(空念佛)’에 지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지난해 교육부 등 정부 4개부처의 R&D 예산(2조3,000억원)중 대학원생들에 대한 인건비 지원 비중은 8.3%에 그쳤다”며 “학문 후속세대들이 아무 근심걱정없이 연구에 매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은 국가적 의무”라고 강조했다. /특별취재팀=강동호 차장(팀장), 이재철 기자, 대전=박희윤 기자, 창원=황상욱 기자, 진주=현민우 기자 eastern@sed.co.kr 입력시간 : 2005/12/09 15:48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