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진출 외국기업들은 연구인력 확보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특히 한국이 동북아 R&D(연구개발)허브가 되려면 인적자원 육성을 포함한 R&D 여건의 획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2일 KOTRA가 국내 기업에 투자한(지분율 50%이상) 외국인투자기업의 최고기술경영자(CTO) 20명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6개국의 R&D여건을 설문조사한 결과, 우리나라는 전체 조사대상국의 평균치를 조금 넘는 성적으로 일본ㆍ중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외국기업 CTO들은 한국의 R&D 여건의 장애 요인(복수응답)으로 `연구인력 확보난(11명)`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정부지원 미비(5명), R&D관련정보 및 기자재부족(4명), 예산확보 어려움(4명) 등이 뒤를 이었다.
외국기업 CTO들은 또 한국이 `동북아 R&D 허브`로 가려면
▲우수한 연구인력들이 비전을 갖고 일할 수 있는 풍토마련
▲해외 유명 연구소의 한국 유치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설문에서 국가별로는 일본이 5점 만점에 4.03점으로 동아시아 6개국 중 R&D여건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3.99점), 한국(3.43점), 타이완(2.95점), 싱가포르(2.71점), 말레이시아(1.88점) 순으로 평가됐다.
우리나라는 R&D정보수집 부문에선 2위, 연구개발인력확보 부문은 3위에 올랐으나 R&D관련 정부지원 부문에선 여섯나라 중 5위에 그치는 낮은 평가를 받았다. 반면 일본은 조사대상 6개국 중 R&D정보수집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됐고 중국은 연구인력 확보와 정부의 지원 부문에서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외국인 투자기업의 CTO들은 “사회적으로 연구인력에 대한 우대분위기를 마련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며 “최근 한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이공계 기피 풍조와 연구인력의 사기저하, 인력육성제도의 낙후 등 부정적인 상황이 심화할 경우 연구개발 공동화 현상이 초래돼 동북아 허브 실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동수기자 bestg@sed.co.kr>